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인장기요양/장기요양 일반52

장기요양·사회복지 AI 서비스 시작 ( 엔젤시터AI with 챗GPT ) 오픈AI의 챗GPT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열풍이 부는 것 같다. AI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것 같다. 인공지능의 빠른 도입은 적응이 힘든 사람들에게 두려움을 주기도 하지만 반복된 작업으로 인한 피로에서 벗어나는 등 여러가지 장점도 있다. 장기요양 및 노인, 장애인 등 취야계층의 복지 엔젤시터에는 챗GPT 기반의 AI 질문을 받는 서비스를 오픈했다. 장기요양 종사자분들이 업무를 하면서 즉각적으로 물어볼 수 있고, 복잡한 사회복지분야 서비스에 대해서도 질문을 해 볼 수 있다. 엔젤시터의 콘텐츠와 AI서비스를 함께 활용하면 더 유용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엔젤시터AI 이용 안내 1. 장기요양·사회복지 분야에 대해 전용으로 이용해 주십시오. 2. 질문 또는 답변은 공개되어 엔젤시터.. 2023. 3. 22.
2023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및 노인복지법, 시행령, 시행규칙 다운로드 2023년 기준 장기요양보험, 시행령, 시행규칙에 대한 PDF 파일 다운로드와 노인복지법, 시행령, 시행규칙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 ( 시행 2022.6.22. ) https://www.law.go.kr/법령/노인장기요양보험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 시행 2023. 1. 1. ) https://www.law.go.kr/법령/노인장기요양보험법시행령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규칙 ( 시행 2023. 3. 1. ) https://www.law.go.kr/법령/노인장기요양보험법시행규칙 노인복지법 [시행 2022. 3. 22.] https://www.law.go.kr/법령/노인복지법 노인복지법 시행령 [시행 2023. 1. 1.] https://www.law.go.kr/법령/노인복지법시행령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 2023. 3. 8.
병원 안심동행서비스 이용 자격 및 신청 방법 ( 서울, 경기, 인천 ) 각 지자체에서 민간비용의 약 1/4 수준의 이용요금으로 병원동행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병원동행서비스란 돌봄 매니저의 도움으로 병원에 갈 때부터 집에 귀가할 때까지 모든 과정 또는 병원 수납, 입원, 퇴원, 병원 내 약국 동행 등을 지원해 준다. 대중교통 뿐 아니라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서비스의 자세한 내용은 지자체마다 다를 수 있다. 서울시 서울시는 1인가구 또는 다가구가지만 병원동행 서비스가 필요한 시민에게 병원 안심동행서비스를 2022년 5월부터 제공하고 있다. 주민등록상의 주소지가 서울이 아니더라도 실거주하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신청은 콜센터 1533-1179로 신청하거나 온라인 1in.seoul.go.kr로 신청하면 된다. 사전예약과 당일 신청이 가능하며 .. 2023. 3. 7.
2023년 장기요양 가족요양비 지급액 및 자격 조건 장기요양급여의 종류에는 재가급여, 기타 재가급여(복지용구), 시설급여 그리고 특별현금급여가 있다. 특별현금급여에는 가족요양비가 있다. 가족요양비는 가족요양보호사 급여와는 다르다. 가족요양비 자격 기준은 아래와 같다. 가족요양비 자격 기준 ① 수급자는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상태이어야 한다. ② 케어하는 분이 가족이어야 한다.이면서 요양보호사 자격증이 있어야 한다. ③ 법 제 24조에 따라 공단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수급자가 가족 등으로부터 제23조제1항제1호가목에 따른 방문요양에 상당한 장기요양급여를 받은 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해당 수급자에게 가족요양비를 지급할 수 있다. 1. 도서ㆍ벽지 등 장기요양기관이 현저히 부족한 지역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2023. 2. 15.
장기요양 의사소견서 수가 및 본인부담금 ( 2023년 3월 ~ )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따라 장기요양등급을 신청하는 분들은 의사소견서를 제출해야 할 수 있다. 의사소견서 발급의뢰서를 받게 되면 지정한 기일내에 반드시 의사소견서를 제출해야 한다. 3월 1일부터 개정된 의사소견서를 사용해야 한다. 3월 31일까지 기존서식을 이용하는 경우 2022년도 수가가 적용된다. 의사소견서 및 치매진단 관련 보완서류 발급비용 신청종류 구분 총금액 본인부담금 20% 10% 0% 최초신청 갱신신청 의사소견서 의료기관 (보건의료원 포함) 52,040 10,400 5,200 면제 보건기관 (보건소 및 보건지소) 48,000 9,600 4,800 면제 치매진단 관련 보완서류 의료기관 (보건의료원 포함) 25,520 5,100 2,550 면제 보건기관 (보건소 및 보건지소) 21,980 4,390 .. 2023. 2. 8.
요양원과 요양병원, 실버타운의 입소 비용과 차이점 노인분들의 위한 입소 시설하면 요양원, 실버타운, 요양병원 등이 떠오르게 된다. 여기서는 각 시설별 입소조건, 비용 등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구분 요양원 요양병원 실버타운 목적 돌봄 치료+돌봄 거주 국가지원 장기요양보험 의료보험 없음 자격 장기요양등급 노인성 질환 또는 만성질환자 노인 케어 요양보호사 의사, 간병인 비용 본인부담금 + 비급여비용 70만원 이상 치료비 본인부담금 + 비급여 비용 ( 100만원 이상 ) 보증금+월세 ( 100만원 이상 ) 실버타운 실버타운은 요양원과 요양병원과는 좀 성격이 다르다. 실버타운은 노인분들이 모여사는 거주시설이라고 봐야 한다. 평범한 사람들이 사는 집처럼 보증금과 월세가 있다. 대신 노인이 살기 좋은 주변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돌봄 중심의 시설과.. 2022. 12. 21.
2022년 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감경적용 변경 기준 ( 보건복지부 행정 지침 ) 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감경 적용기준 적용기간: ʼ22.10월∼ʼ23.1월 ※ 「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감경에 관한 고시」 (제2021-283호) 제2조제4항과 관련임 가구원수 지역 직장 보험료 순위 보험료 순위 재산과표액 25% 50% 25% 50% 1명 19,500 - 66,980 87,370 122,000,000 2명 19,500 94,430 71,420 105,580 207,000,000 3명 28,770 103,200 83,700 132,280 268,000,000 4명 40,540 112,920 97,830 159,920 329,000,000 5명 43,390 116,020 122,320 186,780 389,000,000 6명이상 52,130 139,180 142,710 205,770 450,000.. 2022. 9. 14.
2022년 노인장기요양 복지용구 제품 검색 목록 618개 업데이트 2022년 현재 기준 구입 및 대여 가능한 복지용구 제품 목록을 검색 페이지를 업데이트했다. 엔젤시터에서는 요양보호사 구인구직, 요양보호사 교육원 정보, 요양기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복지용구도 쉽게 검색 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다. 엔젤시터 메인페이지에 접속하면 복지용구 검색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제품별 카테고리와 이용 형태에 따라 구입, 대여, 구입 또는 대여가 가능한 제품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제품 사진 및 구입 가격 ( 대여금액), 내구연한, 제조사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구매는 가까운 복지용구 사업소로 문의해 보면 된다. 복지용구 사업소 검색하기 복지용구 이용절차 안내 복지용구 내구연한 제도란? 2022. 9. 13.
최신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노인복지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모음 장기요양관련해서 인터넷으로 검색 해 볼 수 있지만 부정확한 정보도 많고, 법규도 수시로 개정되기 때문에 관련 법을 찾아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관련 법, 시행령, 시행규칙을 정리해 봤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 (2022. 6. 22) 바로가기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 22.06.22 ) 바로가기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규칙 ( 22.06.23 ) 바로가기 노인복지법 ( 22.03.22 ) 바로가기 노인복지법 시행령 ( 21.06.30) 바로가기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 22.04.18 ) 바로가기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시설기준 및 직원배치 기준, 운영규정 PDF ( 2021. 06. 30. ) 다운로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시설기준 및 직원배치 기준,운영규정 PDF ( 20. 04. 23 ) 다운로드 2022. 7. 21.
요양원 입소, 기초생활 의료급여 x, 생계급여 수급자의 본인부담금은? 장기요양기관은 국가에서 80~85%를 지원하고 나머지는 본인이 내야 한다.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방문목욕, 방문간호, 단기보호 등 재가급여는 85%를 지원하고 요양원 등 시설급여는 80%를 지원한다. 국가 지원과 본인부담금 구분 재가급여 시설급여 국가부담 85% 80% 본인부담 15% 20% 감경40% 9% 12% 감경60% 6% 8% 기초생활 수급자 재가급여는 국가가 기초생활 의료급여 수급자에게 100% 지원을 한다. 등급에 따른 월 한도액 안에서 별도의 부담없이 방문요양, 주야간보호 등의 장기요양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기초생활 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도 의료보험료액에 따라 본인부담금 9~6%로 감경된다. 요양원, 의료급여 없는 생계급여 수급자 요양원은 약간 다르다. 생계급여는 의.. 2022. 7.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