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인장기요양/장기요양 일반54

부모님의 장기요양등급 받는 법 기준, 절차, 꿀팁 총정리 몸이 불편하거나 치매 증상이 있는 어르신을 돌보는 보호자라면, 노인 장기요양 등급 판정 제도를 반드시 알아둘 필요가 있다. 장기장기요양요양 등급을 받으면 요양보호사가 직접 방문하여 일상생활을 돕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요양원이나 주간보호센터 등의 다양한 국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그러나 모든 어르신이 신청했다고 자동으로 등급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신청자의 30%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제외된다고 하낟. 그렇다면 부모님이 장기요양 등급을 받기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필요성과 조건, 신청 절차, 그리고 유리한 팁까지 정리하였다. 장기요양등급의 필요성 노인 장기요양등급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어르신에게 국가가 장기요양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자격 기준이다. 등급.. 2025. 5. 21.
익숙한 집에서 받는 맞춤형 돌봄 장기요양 통합재가서비스란? 통합재가서비스는 어르신이 병원이나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익숙한 집에서 생활하며 필요한 요양·간호·목욕·재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제도이다. 여러 기관과 따로 계약할 필요 없이 한 번의 계약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편리하고, 수급자의 건강 상태와 욕구에 맞춘 맞춤형 돌봄이 가능하다. 아래는 공단에 공식 발표한 통합재가서비스 리플릿의 내용이다. 목적 수급자가 지역사회에서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맞춤형 복합서비스 제공체계 구현 개요 하나의 기관(주·야간보호 또는 방문간호)에서 수급자의 욕구·상태에 따라 다양한 재가서비스, (주·야간보호, 방문요양, 목욕, 간호)를 전문인력, (간호사·간호조무사, 물리·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이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주요내용.. 2025. 5. 14.
2025년 방문간호지시서(1회당) 및 의사소견서 발급비 확인하기 방문간호지시서(1회당) 발급 비용 장기요양 방문간호지시서는 장기요양보험 대상자가 방문간호 서비스를 받기 위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 한의사가 발행하는 문서입니다. 수급자의 건강 상태와 진단 내용을 바탕으로 필요한 간호 내용(상처 드레싱, 약물 관리, 체위 변경 등)을 지시하며, 방문간호사가 지시서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간호 계획을 세워, 수급자에게 필요한 간호 서비스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합니다.  방문간호 이용요금 확인하기 의사소견서(1회당) 발급 비용장기요양 의사소견서는 장기요양보험 신청 시 수급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의사가 작성하는 문서로서  수급자의 주요 질환, 신체적·정신적 기능, 재활 가능성 등을 상세히 기재하여 장기요양 등급 판정에 참고합니다. 소견서는 장기요양 신청자의 상태를.. 2025. 1. 14.
2025년 노인장기요양 변경 사항 모음 ( 수가 및 장기요양급여 제공기준 등 ) 2025년도 노인장기요양기관별 수가 및 발표 전문자세히 보기 2025년 장기요양기관별 수가 및 본인부담금- 방문요양 | 모의계산- 방문목욕 | 모의계산- 방문간호 | 모의계산- 주야간보호 | 모의계산- 단기보호 | 모의계산- 요양원 | 모의계산- 공동생활가정 | 모의계산 2025년 장기요양 급여유형별 인건비 지출 비율구분인건비지출비율노인요양시설62.5%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65.1%주야간보호48.5%단기보호58.8%방문요양86.6%방문목욕49.6%방문간호60.1%자세히 보기  2025년 장기요양보험료율 및 건강보험료율 안내구분건강보험료율장기요양보험료율( 건보료대비보험료율 )2025년7.09%(동결)0.9182% ( 12.95%) (동결)자세히 보기 장기요양급여 제공기준 및 급여비용 산정방법 등에 관한 고시 .. 2025. 1. 13.
2025년 장기요양 서비스 주요 변경 사항 정리 2025년 장기요양 서비스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자. 재가서비스 1, 2등급 월한도액 대폭 강화중증 수급인  장기요양등급 1등급, 2등급 수급자에게 충분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재가급여 서비스 월 한도액을 대폭 상향했다.구분2024년2025년1등급2,069,900원2,306,400원2등급1,869,600원2,083,400원 2025년 재가서비스 월한도액 전체 보기 장기요양 가족휴가제 확대구분2024년2025년단기보호10일11일종일방문요양 12시간20회22회 재가 서비스 확대통합재가서비스한 기관에서 다양한 재가급여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24. 120개소 → ’25. 225개소 목표)재택의료센터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가 함께 방문진료 및 간호 등 의료-요양 통합서비스 제공(‘24. 95개소.. 2024. 11. 6.
2025년 장기요양보험료율 및 계산 방법 소개 2025년 장기요양보험료율은 2024년도와 동일한 0.9182%로 결정되었다. 건강보험료 대비 12.95%이다.장기요양보험료율에 따라 장기요양보험료 부담이 생길 수 있으나 이번 동결에 따라 장기요양보험료에는 변화가 없다. 장기요양보험료율의 변화구분2019202020212022202320242025소득대비보험료율0.5497%0.6837%0.7903%0.8577%0.9082%0.9182%0.9182%(인상률)19.37%24.38%15.59%8.53%5.89%1.09%-건보료대비보험료율8.51%10.25%11.52%12.27%12.81%12.95%12.95%(인상률)15.30%20.45%12.39%6.51%4.40%1.09%-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 대비 부담을 하게 된다.  장기요양보험료 계산법장기요양.. 2024. 11. 1.
장기요양등급 의사소견서 발급 절차 및 서식 작성법 장기요양등급을 신청할 경우 공단에서 의사소견서 발급의뢰를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의사소견서 발급의뢰서와 치매지단 확인이 필요한 자에 대한 의견 서류를 모두 작성해야 한다. 의사소견서 발급 비용의사소견서 발급의뢰서를 안내받은 신청인은 소견서 비용의 일부 부담(20%, 10%) 또는 면제 대상이다. 본인부담금 전액 납부 대상자65세 미만자는 인정신청서를 공단에 제출 시 노인성 질환이 기재된 의사소견서를 함께 제출하여야 하며 이 경우 의사소견서 발급비용은 전액 본인이 부담하여 발급한다.  65세 이상인 경우에도 의사소견서 발급의뢰하기 전, 우선 발급 희망하는 경우에도 전액 본인부담금 부담이다. 의사소견서 발급 절차 및 작성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첨부파일을 확인해 보자. 다운로드   노인장기요양 의사소견서 .. 2024. 8. 8.
2023년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정기 평가 등급 발표 2023년에 실시한 장기요양 재가급여기관에 대한 정기평가에 발표가 되었다. 등급은 A~E등급으로 나눠진다. 평가는 2023. 1. 25. ~ 2023. 11. 30. 기간 동안 진행되었다. 약 10개월이 걸렸다. 대상 기관 총 10,300개소 였으며, 정상실시 9,083개소, 평가불가 1,217개소였다. 평가불가는 휴/폐업, 업무정지, 지정취소 등의 사유로, 평가거부는 평가 거부, 기피 기관, 자료 제출 거부 기관 등이다. 평가 등급 결정 절대평가등급 기준에 따라 A(최우수), B(우수), C(양호), D(보통), E(미흡) 5개 등급으로 결정된다. A 등급 : 평가점수 90 점 이상이면서 대분류 영역 각 70점 이상 B 등급 : 평가점수 80 점 이상이면서 대분류 영역 각 60 점 이상 C 등급 : 평.. 2024. 3. 7.
2024년 노인장기요양 변경 7가지 ( 가족휴가제 등 ) 1. 장기요양보험료율, 소득의 0.9182%로 결정 이는 건강보험료 대비 12.95%이다. 올해 대비 1.09% 인상되었다. 2. 장기요양 수가 평균 2.92% 인상 어려운 경제 여건을 고려하여 2018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보험료율 인상되었다. 노인공동생활가정과 단기보호 기관의 경우 경영난 해소와 운영 활성활를 위해 추가 인상분 반영되었다. 2024년 급여유형별 수가 인상률 ( 단위 : %) 3. 중증(장기요양 1·2등급) 재가 수급자의 이용 한도액을 인상 살던 곳에서 편안히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재가급여 강화한다. 이용 한도액을 인상하고 8시간 방문요양 이용횟수를 월 6일에서 8일로 상향 조정한다. 2027년까지 시설급여 수준으로 상향 조정한다. 4. 중증 수급자 가족 휴가제 도입 중증 재가수급자를.. 2023. 11. 2.
장기요양 서비스 앞으로 이렇게 바뀐다 - 장기요양기본계획 (3차 안 ) 보건복지부는 중장기 장기요양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이 안을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장기요양 서비스의 정책안으로 정책 방향을 점검하고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인 내용은 재가 서비스 강화와 장기요양 품질을 높인다는 내용이다. 주요 내용을 발취한 것이고 자세한 내용은 장기요양기본계획 안을 다운로드 받아서 확인해 보자. [ 주요 내용 ] 재가 장기요양 서비스 강화 · 집에서 받는 재가 서비스 강화 사는 집에서 적절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충분한 재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1·2등급 수급자는 시설입소자가 받는 월 한도액 수준으로 확대 · 통합재가서비스 확대 올해 50개 기관에서 2027년까지 1,400개로 확대하여 수급자의 서비스 선택권을 늘림, 통합재가기관의 책임감과 전문성을 갖추고 서비스 제공, 월 .. 2023. 8.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