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인장기요양/장기요양 일반47

주간요약 7건 (요양보호사 유급휴일, 활동지원사 양성 교육 등 ) 요양보호사 유급휴일 확대에 따른 수당 적용 ( 질의응답 ) 유급 휴일 근무로 인해 월 기준 근무시간을 초과한 종사자에 대하여, 유급 휴일 근무로 초과한 근무시간을 유일휴일 일자별 1일 최대 8시간 범위 내에서 이월한 일자의 근무시간으로 안정한다. 변경된 유급휴일 제도에 대해서 Q&A 방식으로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구분 적용 기준 유급휴일 ‣ 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현충일 ‣ 신정, 설·추석 연휴 3일, 어린이날, 크리스마스, 부처님 오신날 ‣ 공직선거법 상 선거일, 기타 수시 지정일(임시공휴일) ‣ 설·추석 연휴 및 어린이날 일요일 등으로 인한 대체 휴무일 내용 바로가기 2021년 35회 요양보호사 시험 장소 확인하기 및 준비물 35회 요양보호사 국가 자격증 취득 시험장소 확정 및 응시표 .. 2021. 4. 26.
요양보호사 유급휴일 확대에 따른 수당 적용 ( 질의응답 )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유급휴일 확대에 따른 다빈도 Q&A 질의응답 자료이다. 첨부파일은 맨 하단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 받을 수 있다. ◈ 「근로기준법」 제55조제2항 본문에 따른 유급휴일 근무로 인해 월 기준 근무시간을 초과한 종사자에 대하여, 유급휴일 근무로 초과된 근무시간을 유급휴일 일자별 1일 최대 8시간 범위 내에서 이월한 일자의 근무시간으로 인정함 유급휴일 근무자 이월 가능 근무시간 적용기준 구분 적용 기준 유급휴일 ‣ 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현충일 ‣ 신정, 설·추석 연휴 3일, 어린이날, 크리스마스, 부처님 오신날 ‣ 공직선거법 상 선거일, 기타 수시 지정일(임시공휴일) ‣ 설·추석 연휴 및 어린이날 일요일 등으로 인한 대체 휴무일 대상 ‣ 유급휴일 근무로 인해 월 기준 근무.. 2021. 4. 22.
2021년 장기요양 통합재가 서비스예비사업 소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통합재가급여 서비스에 대한 자료들이 자주 올라온다. 지금의 재가급여보다 발전된 미래형 재가 복지 정책으로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는 것 같다. 통합재가 예비 사업자는 매년 공고를 통해서 기관을 모집해 넓혀가고 있다. 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서는 변화하는 정책에 미리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재가 서비스는 2019년부터 시작된 예비사업으로 현재 전국 142개소에서 서비스를 제공기관으로 확보하여 운영 중에 있다. 간호사와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가 함께 이용자의 개별적인 상태와 수요를 파악해 두가지 이상의 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이다. "주야간보호통합형[주‧야간보호+방문요양(목욕)]과 가정방문 통합형 [방문간호+방문요양(목욕)] 중 하나를 선택해 이용 가.. 2021. 3. 21.
노인성 질병의 종류 ( 노인장기요양등급 인정 신청 ) 노인장기요양등급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 신청이 가능하다. 그러나 65세 미만이라도 여러가지 질병으로 일을 못하고 돌봄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질병의 종류가 노인성 질환일 경우 장기요양등급 신청 가능하다. 노인성 질병으로 뇌혈관성 질환, 치매, 파킨슨병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며 질병코드별로 분류되어 있다. 노인성 질병 종류 구분 질병명 질병코드 한국표준 질병사인 분류 가.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F00 나. 혈관성 치매 F01 다.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치매 F02 라. 상세불명의 치매 F03 마. 알츠하이머병 G30 바. 지주막하출혈 I60 사. 뇌내출혈 I61 아. 기타 비외상성 두개내 출혈 I62 자. 뇌경색증 I63 차. 출혈 또는 경색증으로 명시되지 않은 뇌졸증 I64 카. 대뇌경색증을 .. 2021. 2. 6.
노인장기요양등급 ( 인정 판정 ) 신청 절차는 어떻게? 어르신이 방문요양 또는 요양원 등 장기요양기관의 요양보호사님들의 돌봄을 받기 위해서는 노인장기요양등급 신청 ( 인정 신청 ) 을 해야 한다. 인정 신청 방법과 절차를 알아보겠다. 자격 요건 만 65세 이상 몸이 불편한 어르신 또는 65세 미만 노인성 질병을 가진 사람이다. 65세 미만은 신청자는 의사 소견서는 필수이다. 신청 방법 국민겅강보험공단의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에서 간단히 신청이 가능하다. 온라인 신청은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한다. 우편, 팩스도 많이 이용한다. 직접 거주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도 있다. 신청자 본인과 주민등록상 같은 세대인 가족이 신청 가능하고 직접 방문 시 어르신 및 신청자의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인정 신청서는 아래에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2021. 2. 5.
방문 요양보호사 전자 태그 대신 얼굴 안면 인식 인증한다. 요양보호사님들은 재가 급여 서비스를 위한 가정을 방문하여 일을 시작하기 전에 전자태그를 찍는다. 이런 방식에 크게 변화가 생길 것 같다. 전자태그 대신 얼굴 안면 인식과 실내 위치 인증하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할 재가장기요양기관을 모집 중이기 때문이다. 안면(얼굴)인증 발표된 내용을 보면 안면 얼굴 인식 정보는 최초 1회 안면 인식을 하여 자신의 스마트폰에 저장 후 서비스의 시작 및 종료 시 인증하는 방식이다. 안면 얼굴 정보는 요양요원 스마트폰에만 저장되며, 공단은 소유하지 않는다고 한다. 스마트폰에만 저장되고 다른 곳으로 전송되지 않는다는 뜻 같다. 실내위치인증 수급자 가정의 특정 실내 공간의 이미지를 저장하여 요양요원 방문시 지정된 실내 공간에서만 인증되는 방식이다. ※ 1차 시범사업 참여기관의 수급.. 2021. 2. 3.
장기요양 급여 종류와 이용 가능한 장기요양기관 소개 장기요양기관은 방문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요양원 등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먼저 장기요양 인정 신청을 해야 한다. 장기요양 인정 신청을 하면 인정 조사와 심사를 통해 장기요양등급, 급여의 종류를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적절히 요양기관을 선택해야 한다. 등급 신청하는 방법은 맨 아래 링크를 걸어 놓았다. 장기요양급여는 크게 시설급여, 재가급여, 특별 현금급여로 나눠진다. 재가급여 "재가 급여는 등급에 따른 월 한도액을 가지고 아래의 재가 급여 요양기관에서 이용할 수 있다. 방문요양센터 및 방문목욕, 방문간호를 받을 수 있으며, 주야간보호센터도 이용할 수 있으나 시설 급여에 해당하는 요양원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이용할 수 없다." 방문요양 가정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이하 ‘재가노인’이라 한다.) 신체적·.. 2021. 2. 3.
장기요양기관 본인부담금 감경 대상자 적용 기준 및 계산법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요양원 등 장기요양기관을 이용 시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은 감경 대상자로 지정될 수 있다. 지역 및 직장 가입자의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장기요양기관 이용요금 중 본인부담금 60% 감경 또는 40% 감경이 된다. 건강보험 지역가구 본인부담금 감경 적용 보험료 기준 ( 단위 : 원 ) 건강보험 가구원 수 지역가입자 건강산정보험료 본인부담금의 60% 감경 본인부담금의 40% 감경 1명 14,380원 이하 14,380원 초과 32,640원 이하 2명 43,800원 이하 43,800원 초과 120,700원 이하 3명 65,690원 이하 65,690원 초과 137,500원 이하 4명 83,830원 이하 83,830원 초과 152,940원 이하 5명 87,930원 이하 87,930원 초과.. 2021. 1. 25.
공동생활가정의 종류와 입소 자격 ( 노인, 장기요양, 장애인, 아동 ) 공동생활가정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노인복지법에 근거한 노인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 여건과 급식,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이지만 이용자는 전혀 다르다. 공동생활가정은 노인복지법 제 32조 제 1항에 근거한 노인주거복지시설이며 양로시설과 노인복지주택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용자층은 기초생활 수급자, 부양의무자로부터 적절한 부양을 받지 못하는 65세 이상 노인이 입소하거나 입소자가 직접 부담하여 거주할 수도 있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노인복지법 제34조 제 1항의 근거로 설립 및 운영되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이며 같은 조항의 시설로 노인요양시설(요양원)이 있다. 치매, 중풍, 노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이 입소를 한다. 구분 공동생활가정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법규 노인복.. 2021. 1. 23.
요양원과 공생 (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기관 통계 자료로 본 차이점 요양원(노인요양시설)과 공생(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많이 설립되었지는 궁금했다. 기관 설립 수에 대해서 통계가 나온 현황을 찾기는 했는데 좀 이상했다. 그래서 그 데이터는 사용하지 않고 2020년도 3월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장기요양기관 실태 조사로 포스팅 자료를 만들었다. 시설 현황 종류 구분 비율 재가급여 76% ( 재가노인 복지시설 ) 방문요양 45.3% 방문목욕 13.6% 방문간호 1.6% 주야간보호 14.7% 단기보호 0.5% 시설 급여 24% ( 노인의료 복지시설 ) 요양원 ( 노인요양시설 ) 15.9%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8.5% ㅇ ( 운영주체 구분 ) 개인 75.7%, 비영리법인 21.8%, 영리법인 2.5% ㅇ ( 지역 구분 ) 대도시 37.1%, 중소도시 36.0%.. 2021. 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