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인분들의 위한 입소 시설하면 요양원, 실버타운, 요양병원 등이 떠오르게 된다.
여기서는 각 시설별 입소조건, 비용 등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구분 | 요양원 | 요양병원 | 실버타운 |
목적 | 돌봄 | 치료+돌봄 | 거주 |
국가지원 | 장기요양보험 | 의료보험 | 없음 |
자격 | 장기요양등급 | 노인성 질환 또는 만성질환자 | 노인 |
케어 | 요양보호사 | 의사, 간병인 | |
비용 | 본인부담금 + 비급여비용 70만원 이상 |
치료비 본인부담금 + 비급여 비용 ( 100만원 이상 ) |
보증금+월세 ( 100만원 이상 ) |
실버타운
실버타운은 요양원과 요양병원과는 좀 성격이 다르다.
실버타운은 노인분들이 모여사는 거주시설이라고 봐야 한다.
평범한 사람들이 사는 집처럼 보증금과 월세가 있다.
대신 노인이 살기 좋은 주변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돌봄 중심의 시설과는 다르기 때문에 요양원과 요양병원보다는 좀 더 건강한 분들이 들어온다.
국가에서 지원하는 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지원이 없으며 나이만 적합하면 입소가 가능하다.
실버타운마다 입주요건이 다르지만 월 100만원 이상이 소요된다.
요양병원
요양병원은 병원시설이다.
의사의 치료를 필요로 하면서 돌봄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 입소하는 시설이다.
의료보험 지원이 되지만 재활, 간병인 등 비급여에 대해서는 100% 자비 부담이다.
요양병원마다 다르지만 월 100만원 이상이 소요되다.
요양원
요양원은 장기요양기관으로 요양보호사의 돌봄 서비스를 받은 입소시설이다.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이 요양원에 입소하면 국가에서 80%를 지원하고 나머지 20%를 자비로 부담하면 된다.
식사비, 간식비 등 비급여는 100% 자비부담이다.
모든 요양원의 본인부담금은 동일하다.
자비부담까지 포함하면 보통 70~80만원 정도 나온다.
반응형
'노인장기요양 > 장기요양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장기요양 가족요양비 지급액 및 자격 조건 (0) | 2023.02.15 |
---|---|
장기요양 의사소견서 수가 및 본인부담금 ( 2023년 3월 ~ ) (0) | 2023.02.08 |
2022년 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감경적용 변경 기준 ( 보건복지부 행정 지침 ) (0) | 2022.09.14 |
2022년 노인장기요양 복지용구 제품 검색 목록 618개 업데이트 (0) | 2022.09.13 |
최신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노인복지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모음 (0) | 2022.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