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자체에서 민간비용의 약 1/4 수준의 이용요금으로 병원동행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병원동행서비스란 돌봄 매니저의 도움으로 병원에 갈 때부터 집에 귀가할 때까지 모든 과정 또는 병원 수납, 입원, 퇴원, 병원 내 약국 동행 등을 지원해 준다. 대중교통 뿐 아니라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서비스의 자세한 내용은 지자체마다 다를 수 있다.
서울시
서울시는 1인가구 또는 다가구가지만 병원동행 서비스가 필요한 시민에게 병원 안심동행서비스를 2022년 5월부터 제공하고 있다.
주민등록상의 주소지가 서울이 아니더라도 실거주하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신청은 콜센터 1533-1179로 신청하거나 온라인 1in.seoul.go.kr로 신청하면 된다.
사전예약과 당일 신청이 가능하며 이용요금은 시간당 5,000원이며 30분 초과 시 2,500원이 추가된다.
중위소득 100% 이하 저소득층은 무료 지원한다.
차량은 별도 지원하지 않으며 교통비는 이용자가 부담한다.
이용은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이용할 수 있고 주말은 사전예약 후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용 가능하다.
경기도
경기도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병원안심동행 서비스를 시작했다.
구분 | 내용 |
지원대상 | 5개 시·군*내 1인가구 시범운영 *3월: 안산, 광명, 군포, 포천 / 하반기 : 성남 (연령, 소득 무관/노인가구, 한부모가정 등 사실상 1인가구 포함) |
지원내용 | · 병원 접수, 수납, 진료 등 출발부터 귀가까지 동행 · 요양보호사 등 전문인력 방문지원 ※ 택시·버스비 등 교통비는 자부담, 이동수단미제공 |
이용요금 | 기본 1시간 5,000원 / 초과 30분당 2,500원 (자부담) ※ 민간 비용의 1/4 수준 |
이용시간 |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 ※ 병원 예약 시간에 따라 9시 이전 가능 |
신청방법 | 해당 시·군 전화 신청 |
· 안산시 건강가정지원센터 031-401-1032
· 광명시 1인가구지원센터 1577-7429
· 군포시 가족센터 1600-9983
· 포천시 가족센터 031-532-2061
· 성남시 1인가구지원센터 2023 하반기 예정
인천시
지난해 만 70세 이상 기초생활 수급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범사업에 이어 만 65세 이상의 노인맞춤돌봄 서비스 대상으로 병원 동행사업을 확대했다.
구분 | 내용 |
지원대상 | 인천시내 만65세 이상 거동가능 기초연금대상자(소득70%이하) * 장기요양등급자 등 유사중복수혜자 제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 포함 |
지원내용 | 관내 사업대상 어르신 병원 이동시 무료동행 서비스 제공 *키오스크 활용 접수 및 수납처리, 처방약 수령 등 |
운영시간 | 평일 09시 ~ 18시 (주말 및 공휴일 제외) |
이동수단 | 택시 또는 자원봉사자 개인차량 |
신청방법 | 거주지 행정복지센터 & 각 지역 기초 자원봉사센터 이용가능의료기 인천시 관내 병원급 의료기관(의원급 의료기관 제외) |
그외에 대전, 동해시, 춘천시, 대구 수성구 등 지자체별로 병원 동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사는 지역 지자체에 문의해 보자.
'노인장기요양 > 장기요양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요양·사회복지 AI 서비스 시작 ( 엔젤시터AI with 챗GPT ) (0) | 2023.03.22 |
---|---|
2023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및 노인복지법, 시행령, 시행규칙 다운로드 (0) | 2023.03.08 |
2023년 장기요양 가족요양비 지급액 및 자격 조건 (0) | 2023.02.15 |
장기요양 의사소견서 수가 및 본인부담금 ( 2023년 3월 ~ ) (0) | 2023.02.08 |
요양원과 요양병원, 실버타운의 입소 비용과 차이점 (0) | 2022.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