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공생 ) 수가 및 본인부담금
9인 이하 입소시설인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수가 및 본인부담금이다.공동생활가정은 국가에서 80%를 지원하고 나머지 20%가 본인부담금이다. 차상위계층은 12% 또는 8%로 본인부담금이 감경되며, 기초생활 의료급여 수급자는 본인부담금이 없다.등급’25년 수가’25년 본인부담20%12%8%1등급72,48014,4968,69857982등급67,25013,4508,0705,3803등급62,00012,4007,4404,960 공동생활가정은 입소시설이므로 식사비, 간식비 등의 비급여는 100% 자부담비용이다.따라서 공동생활가정의 실제 비용은 본인부담금에 비급여를 합친 것이라고 보면 된다. 본인부담금과 비급여를 합친 실제 비용을 정리한 글 2024년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공생) 이용요금 및 본인부담금 알아보기장기요양..
2024. 11. 20.
2024년 방문간호 이용요금 및 모의계산기
장기요양 방문간호 대한 이용요금 및 모의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2024년 방문간호 서비스 수가 급여비용 본인부담(15%) 감경(9%) 감경(6%) 15분 이상 ~ 30분 미만 40,760원 6,114원 3,668원 2,446원 30분 이상 ~ 60분 미만 51,110원 7,667원 4,600원 3,067원 60분 이상 61,490원 9,224원 5,534원 3,689원 국가에서 85%를 지원하고 나머지 본인부담금이 15%이다. 저소득층에 따라 감경되어 본인부담금이 9%, 6% 된다. 기초생활 수급자는 0원이다. 모의계산기를 이용하면 좀 더 쉽게 계산해 볼 수 있다. 2024년 방문간호 모의계산 방문간호 서비스 시간 및 이용횟수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본인부담금 및 남은 한도액을 계산해 준다. 모의계..
2023. 12. 20.
2024년 노인공동생활가정 (공생) 서비스 수가 및 본인 부담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요양원과 유사하지만 9인 이하의 시설로서 노인장기요양등급 중 시설등급을 받아야 입소가 가능하다. 시설급여등급은 1~2등급이 가능하며, 3~5등급은 재가급여등급을 받게 되는데 시설급여등급으로 바꿔야 입소가 가능하다. 입소시설이므로 본인부담금과 식사비 등 비급여비용으로 나눠진다. 아래는 2024년 등급별로 1달 이용 시 본인부담금과 비급여비용을 합한 총 이용요금을 산출해 본 것이다. 등급 급여비용 (1일) 급여비용 (30일) 본인부담금(월)① 비급여(월)② (식대, 간식) 예시금액 (월)총계③ 일반대상자 (20%) 감경자 (12%) 감경자 (8%) 일반20% 감경12% 감경8% 1등급 71,010 2,130,300 426,060 255,636 170,424 270,000 696,060 ..
2023. 11. 16.
2024년 단기보호 서비스 수가 및 본인 부담금
장기요양 단기보호서비스는 가족 또는 간병인이 집에서 간병이 어려울 때 단기적으로 요양 시설에서 보호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아래는 서비스 이용요금이다. 2024년 단기보호 이용요금 등급별 급여비용 본인부담(15%) 감경(9%) 감경(6%) 1 70,500원 10,575원 6,345원 4,230원 2 65,280원 9,792원 5,875원 3,917원 3 60,310원 9,047원 5,428원 3,619원 4 58,720원 8,808원 5,285원 3,523원 5 57,110원 8,567원 5,140원 3,427원 중증 재가수급자를 돌보는 가족의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급자가 월 한도액 외에도 단기보호·종일방문요양(12시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를 도입한다. * 단기..
2023. 11. 14.
2024년 방문요양 월 한도액 및 시간별 이용요금
2024년 재가복지센터 방문요양 서비스에 대한 월 한도액과 서비스 비용과 본인부담금은 얼마인지 확인해 보자. 2024년 월 한도액 등급 월 한도액 1등급 2,069,900원 2등급 1,869,600원 3등급 1,455,800원 4등급 1,341,800원 5등급 1,151,600원 인지지원 643,700원 2024년 방문요양 요금 방문당 총 재가급여비용 본인부담(15%) 9% 6% 30분 16,630원 2,495원 1,497원 998원 60분 24,120원 3,618원 2,171원 1,447원 90분 32,510원 4,877원 2,926원 1,951원 120분 41,380원 6,207원 3,724원 2,483원 150분 48,250원 7,238원 4,343원 2,895원 180분 54,320원 8,148원..
2023. 11. 3.
2023년 장기요양급여 변경사항 및 개정 내용 정리 글
2023년 노인장기요양기관 서비스 제공에 있어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자. 1. 2023년 장기요양 수가 인상 재가급여 월 한도액 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인지지원등급 월 한도액(원) 1,885,000 1,690,000 1,417,200 1,306,200 1,121,100 624,600 장기요양기관별 재가급여비용 평균 요양시설 공생 주·야간 단기보호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4.70% 4.54% 4.61% 4.54% 4.56% 4.92% 4.55% 4.23% 2023년 장기요양 이용요금 전용 페이지 바로가기 2. 2023년도 인건비 지출비율 변경 구분 장기요양요원 인건비 지출비율(%) 노인요양 시설 간호(조무)사 물리(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61.4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2023.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