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주거급여 소득기준액 및 월세 지원금
주거급여는 집이라는 최소한의 생활 기반을 지키기 위해 국가가 지원하는 제도이다. 기소득이 낮아 주거비 부담이 큰 가구가 안정적으로 머물 수 있도록 돕는다. 임차 가구에는 월세 등 임차료의 일부를 보조하고, 자가 가구에는 노후된 집을 고치도록 수선·유지 비용을 지원한다. 2026년 주거급여 선정 소득기준액은 얼마이고, 월세 지원이 최대 얼마까지 되는지 확인해 보자. 주거급여에 대한 1인 가구 소득기준액은 1,230,834원이다. 이는 근로소득 및 재산을 월 단위로 환산한 금액의 합계인 소득인정액이 이 금액 이하일 경우 주거급여 대상자가 된다.주거급여 선정 소득기준액가구원 수2025년2026년1인 가구1,148,1661,230,8342인 가구1,887,6762,015,6603인 가구2,412,1692,572..
2025. 8. 19.
2026년 의료급여 선정 소득기준액 및 변경사항
의료급여는 생계급여, 주거급여처럼 직접적인 현금 급여가 지급되지는 않지만 병원 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급여 지원이다. 2026년 의료급여 선정 소득기준액 중위소득은 40%로 올해와 동일하다. 의료급여 40%가구원 수2025년2026년1인 가구956,8051,025,6952인 가구1,573,0631,679,7173인 가구2,010,1412,143,6144인 가구2,439,1092,597,8955인 가구2,843,2773,022,6886인 가구3,225,9223,422,381 의료급여는 근로능력이 없는 경우 1종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2종으로 구분해 지원 내용을 다르게 적용한다. 2026년 의료급여 본인부담금은 올해와 동일하다. 현행 의료급여법 시행령 상 본인부담 기준구 분1차(..
2025.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