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9

2024년 주간보호센터 이용요금 및 모의계산기 주야간보호는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은 자동차를 통해 댁에서 모셔야 프로그램과 돌봄은 진행 후 다시 모셔다 드리는 서비스이다. 2024년 주간보호센터 이용요금 분류/등급 급여비용 본인부담(15%) 감경(9%) 감경(6%) 3시간 이상 1등급 39,810원 5,972원 3,583원 2,389원 2등급 36,850원 5,528원 3,317원 2,211원 3등급 34,020원 5,103원 3,062원 2,041원 4등급 32,470원 4,871원 2,922원 1,948원 5등급 30,920원 4,638원 2,783원 1,855원 인지지원등급 30,920원 4,638원 2,783원 1,855원 6시간 이상 1등급 53,360원 8,004원 4,802원 3,202원 2등급 49,420원 7,413원 4,448원.. 2023. 12. 21.
2024년 방문간호 이용요금 및 모의계산기 장기요양 방문간호 대한 이용요금 및 모의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2024년 방문간호 서비스 수가 급여비용 본인부담(15%) 감경(9%) 감경(6%) 15분 이상 ~ 30분 미만 40,760원 6,114원 3,668원 2,446원 30분 이상 ~ 60분 미만 51,110원 7,667원 4,600원 3,067원 60분 이상 61,490원 9,224원 5,534원 3,689원 국가에서 85%를 지원하고 나머지 본인부담금이 15%이다. 저소득층에 따라 감경되어 본인부담금이 9%, 6% 된다. 기초생활 수급자는 0원이다. 모의계산기를 이용하면 좀 더 쉽게 계산해 볼 수 있다. 2024년 방문간호 모의계산 방문간호 서비스 시간 및 이용횟수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본인부담금 및 남은 한도액을 계산해 준다. 모의계.. 2023. 12. 20.
가정관리사 자격 이수, 100% 국비 지원 12월 27일 마감 정부는 가사서비스 근로자에 대한 근로자 권리를 보장하고, 투명성을 위해 작년부터 정부인증제공기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플랫폼 종사자들에게 플랫폼 종사자 특화훈련비를 정부가 지원해 왔다. 이에 따라 가정관리사 자격도 내일배움카드만 있으면 자부담 0원으로 이수를 할 수 있었다. 플랫폼 종사자 특화훈련에 대한 정부지원이 올해 말로 종료됨에 따라 가정관리사 자격 자부담 0원은 올해 말로 종료가 된다. 내년부터는 일부 자부담을 하고 자격 이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자부담없이 가정관리사 자격을 취득하길 원하다면 12월 27일까지 교육 신청 접수를 해야 한다. 가정관리사 자격 교육의 특정 ⦁ 수강료 : 무료 (내일배움카드 소지자)(12/27일까지) ⦁ 2주 과정 (20차시, 매주 목요일 개강) ⦁ .. 2023. 12. 19.
2024년 장기요양 (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 평가매뉴얼 및 일정 계획 장기요양보험공단은 장기요양기관 중 재가급여에 해당되는 기관에 대한 2024년 정기평가 실시 일정 계획 및 평가매뉴얼이 공개했다. 장기요양기관의 평가 주기는 3년이다. (’21~’22년) 시설 → (’23년) 재가(짝수) → (’24년) 재가(홀수) 󰠚 2024년 장기요양기관 재가급여 정기평가 실시 *「장기요양기관 평가방법 등에 관한 고시」제4조제1항 2024년 평가기간 2024. 2. 1. ~ 11. 30. (10개월) 평가대상기관 선정 ❍ 평가대상기관 선정기준 󰠚 2022. 12. 31.까지 지정 또는 설치된 재가급여기관 중 장기요양기관기호 끝자리가 홀수인 기관(이하 ‘홀수기관’이라 한다) 선정 ❍ 평가대상기관 선정제외 기관(또는 급여종류) 󰠚 평가대상기관 선정기준일(‘23.11.30.) 폐업, 급여종.. 2023. 12. 18.
2024년 4대보험료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 확인하기 직장생활을 하게 되면 4대보험료를 내게 된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는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50%씩 납입하고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사업자가 내게 된다. 2024년은 건강보험료와 건강보험료와 함께 내는 장기요양보험료만 변경되었다.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2023년도와 동일하다. 2024년 4대보험요율 구분 합계 근로자 부담 사업자 부담 국민연금 9% 4.5% 4.5% 건강보험 7.09% 3.545% 3.545%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0.9182% (구방식: 12.95%) 가입자부담 50% 가입자부담 50% 고용보험 1.8%+고용안정 등 0.9% 0.9%+고용안정 등 산재보험 사업종류에 따라 0% 사업종류에 따라 국민연금은 개편중에 있어 올해 안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고용보험 - 고용안정, .. 2023. 12. 15.
2024년 방문목욕 이용요금 및 모의계산기 장기요양 서비스 방문목욕은 방문차량 또는 집에서 요양보호사와 함께 목욕서비스를 제공한다. 방문목욕 서비스의 방식으로 방문목욕 차량을 이용한 차량내 목욕, 가정내 목욕이 있고 방문목욕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용 방식에 따라 수가가 조금씩 다르다. 2024년 방문목욕 이용요금 방문목욕 서비스 (방문당) 수가 방문목욕 차량 이용한 경우 (차량내 목욕) 84,670원 방문목욕 차량 이용한 경우 (가정내 목욕) 76,340원 방문목욕 차량을 이용하지 아니한 경우 47,670원 모의계산기를 이용해 이용 횟수, 이용방식을 선택면 본인부담금과 남은 월 한도액이 얼마인지 알려준다. 또한 감경률에 따른 본인부담금도 확인해 볼 수 있다. 모의계산기를 이용하면 월 한도액, 총 사용급여액, 공단지원금, 본인부담금.. 2023. 12. 14.
2024년 방문요양 이용요금 및 모의계산기 장기요양 방문요양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부담금 및 모의계산을 통해 얼마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2024년 방문요양 시간별 이용요금 방문당 총 재가급여비용 본인부담(15%) 9% 6% 30분 16,630원 2,495원 1,497원 998원 60분 24,120원 3,618원 2,171원 1,447원 90분 32,510원 4,877원 2,926원 1,951원 120분 41,380원 6,207원 3,724원 2,483원 150분 48,250원 7,238원 4,343원 2,895원 180분 54,320원 8,148원 4,889원 3,259원 210분 60,530원 9,080원 5,448원 3,632원 240분 66,770원 10,016원 6,009원 4,006원 이용요금은 월 한도액 안에서 사용이 가능하.. 2023. 12. 13.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궁금증 질이응답 7가지 국가에서는 청년들의 내집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의 가입 조건을 대폭 완화했다. 아래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대한 질의응답이다. 국민들께서 주신 질문에 답해드립니다.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언제부터 가입 가능한가요? Q. 언제부터 통장 전환 가능한가요? A.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출시는 내년 2월 예정입니다. - 청년우대형 통장가입자 : 출시 시점에 일괄 자동 전환 - 일반 청약 저축가입자 : 출시 후 전환 신청 가능 Q. 예전부터 가입되어 있던 일반 청약통장, 해지하고 다시 만들어야 하나요? A. 기존 통장을 해지 후, 드림통장으로 전환 가입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기존 청약 통장에 납입한 가입 기간, 납입금액, 납입 회차 등은 연속하여 인정됩니다. Q. 어느 은행에서 가입할 수 .. 2023. 12. 12.
요양보호사 취업을 위한 무료 구인구직 지역별 검색하기 요양보호사 취업 정보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여러가지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특히 요양보호사 전문 구인구직 사이트를 이용하면 찾는데 더욱 수월하다. 가까운 거리순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이번에 지역순으로 검색하는 기능을 추가했다. 최신의 요양보호사 구인구직 정보를 지역별 검색을 통해 빠르게 찾고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엔젤시터 구인구직은 요양보호사와 구인구직 뿐 아니라 유사 돌봄 업종 관련 구인구직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주요 특징 - 무료 구인 또는 구직 등록 - 가까운 거리순 취업 정보 확인 - 직업 유형 등 다양한 검색 기능 요양보호사 무료 구인구직 바로가기 요양보호사 최저시급 확인하기 요양보호사별 4대보험 적용 요양보호사 및 .. 2023. 12. 11.
전국 가사서비스 제공 정부인증제공기관 찾기 가사서비스는 작년에 가사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 시행을 통해 투명한 근로 계약과 이용자 계약을 할 수 있도록 정부인증제공기관 제도를 두었다. 가사근로자에게는 4대보험 등 근로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이용자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국 가사서비스 정부인증제공기관 목록 서울(22) 경기(19) 인천(8) 강원(2) 충북(2) 대전(4) 충남(1) 전북(3) 광주(2) 전남(2) 경북(2) 경남(6) 대구(3) 울산(2) 부산(7) 제주(1) 세종(3) 정부인증제공기관와 직업소개소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정부인증제공기관이란? 가정관리사 국비100%로 자격 취득하는 방법 2023.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