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기준중위소득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 확인하기
대한민국의 복지 지원은 기준중위소득을 가구의 소득 판정의 기준으로 사용하여 제공한다. 기준중위소득은 지자체에서 대상자의 소득인 직접 조사하기도 하고,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가구의 기준중위소득을 확읺하기도 한다. 기준중위소득 100% 가구원수 소득기준 건강보험료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3,683,000 130,901 74,359 132,127 3인 4,715,000 167,876 123,611 169,859 4인 5,730,000 205,281 156,318 208,153 5인 6,696,000 239,074 195,321 243,098 6인 7,619,000 271,291 233,543 277,236 7인 8,515,000 304,986 271,091 314,423 8인 9,412,00..
2024. 1. 4.
2024년 단기보호 이용요금 및 모의계산기
장기요양 단기보호 서비스에 대한 2024년 수가 및 모의계산에 대해 알아보자. 단가보호 수가 등급별 급여비용 본인부담(15%) 감경(9%) 감경(6%) 1 70,500원 10,575원 6,345원 4,230원 2 65,280원 9,792원 5,875원 3,917원 3 60,310원 9,047원 5,428원 3,619원 4 58,720원 8,808원 5,285원 3,523원 5 57,110원 8,567원 5,140원 3,427원 단기보호 서비스에 대해 국가에서 85%를 지원하고 이용자 부담은 15%이다. 경제적인 여건에 따라 9%, 6%로 감경된다. 기초생활 수급자는 본인부담금이 0원이다. 단기보호는 재가급여 월 한도액 내에서 이용할 수 있다. 모의계산기를 이용하면 단기보호 서비스에 대한 본인부담금과 사용..
2023.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