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63

2024년 요양원 서비스 수가 및 본인 부담금 요양원은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이 입소하는 시설이다. 국가에서 80%를 지원하고 나머지 20%가 본인부담금이다. 저소득층은 12%, 8%, 0%로 경감된다. 아래는 2024년 요양원의 본인부담금이다. 등급 ’23년 수가 ’23년 본인부담 ’24년 수가 ’24년 본인부담 1 81,750 16,350 84,240 16,848 2 75,840 15,168 78,150 15,630 3,4,5 71,620 14,324 73,800 14,760 (단위 : 1일, 원) 요양원은 입소시설로서 식사, 간식비 등 비급여 비용이 발생한다. 비급여는 100% 자비 부담이다. 위 내용을 토대로 요양원에 들어가는 총 비용을 계산했다. 등급 급여비용 (1일) 급여비용 (30일) 본인부담금(월)① 비급여(월)② (식대, 간식) .. 2023. 11. 15.
2024년 단기보호 서비스 수가 및 본인 부담금 장기요양 단기보호서비스는 가족 또는 간병인이 집에서 간병이 어려울 때 단기적으로 요양 시설에서 보호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아래는 서비스 이용요금이다. 2024년 단기보호 이용요금 등급별 급여비용 본인부담(15%) 감경(9%) 감경(6%) 1 70,500원 10,575원 6,345원 4,230원 2 65,280원 9,792원 5,875원 3,917원 3 60,310원 9,047원 5,428원 3,619원 4 58,720원 8,808원 5,285원 3,523원 5 57,110원 8,567원 5,140원 3,427원 중증 재가수급자를 돌보는 가족의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급자가 월 한도액 외에도 단기보호·종일방문요양(12시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를 도입한다. * 단기.. 2023. 11. 14.
2024년 요양보호사 기존 교육 이수자 시험 방법 관련 질의응답 ( Q&A ) 요양보호사 기존 교육 이수자는 2024년까지 합격을 해야 하고, 2025년 이후 계속 시험을 봐야 하는 경우 개정된 시험으로 봐야 하고 교육이수도 받아야 한다. 2024년부터는 지필시험이 사라지고 컴퓨터시험(CBT)로만 진행한다. 또한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2023년 12월 31일까지 이론 이론·실기 교육을 이수하고 2024년 12월 31일까지 현장 실습을 이수하면 기존 교육과정으로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기존 교육과정 이수자에 대한 자격 시험은 2024년도에만 운영하니 내년에 꼭 합격을 해야 한다. 2024년도 교육이수자 시험과 다르니 시험일정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아래는 국시원에서 발표한 기존 교육과정 이수자 Q&A 자료이다.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제29조의4 및 별표10의2(시행일 2024... 2023. 11. 13.
2024년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시행계획 및 일정 발표 국시원에서 2024년 요양보호사 자격 시험에 대한 시행 계획과 일정을 공고했다. 2024년부터는 요양보호사 자격 시험이 CBT(컴퓨터)시험으로만 진행된다. 또한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개정된 교육과정 변경전 교육과정 이수자와 개정된 교육과정 교육 이수자로 나눠 시험을 보게 된다. 2024.1.1.부터 요양보호사 자격 취득예정자는 개정된 교육과정으로 교육 이수 후 개정된 교육과정 시험에 응시하여야 합니다. 교육과정 변경 전 교육이수자가 개정된 교육과정 시험에 응시하였을 경우 또는 개정된 교육과정 교육이수자가 종전의 규정에 따른 시험에 응시하였을 경우 합격이 취소되오니 응시자는 본인의 응시자격을 정확히 확인 후 해당 시험에 응시원서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 요양보호사 자격시험 응시자격별 유의사항 안내 응시자격.. 2023. 11. 10.
2024년 주간보호센터 서비스 수가 및 본인 부담금 2024년 장기요양 수가에 따른 주야간보호센터 이용요금이다. 주야간보호는 어르신 댁에서 모셔와 프로그램을 운영 후 다시 댁으로 돌려 보내는 서비스이다. 분류/등급 급여비용 본인부담(15%) 감경(9%) 감경(6%) 3시간 이상 1등급 39,810원 5,972원 3,583원 2,389원 2등급 36,850원 5,528원 3,317원 2,211원 3등급 34,020원 5,103원 3,062원 2,041원 4등급 32,470원 4,871원 2,922원 1,948원 5등급 30,920원 4,638원 2,783원 1,855원 인지지원등급 30,920원 4,638원 2,783원 1,855원 6시간 이상 1등급 53,360원 8,004원 4,802원 3,202원 2등급 49,420원 7,413원 4,448원 2,96.. 2023. 11. 9.
2024년 방문요양센터 (방문목욕 ) 창업 사업계획서, 예산서 샘플 자료 재가복지센터를 오픈하려면 지정허가를 받기 위해 지자체에 다양한 서류를 내야 한다. 각종 신청 서식 적성은 별 어려움이 없지만 사업계획서, 예산서, 운영규정 등은 혼자서 쉽게 만들 수 있는 자료들이 아니다. 어느 정도 준비된 자료를 수정해서 준비하는 것이 시간적, 경제적으로 수월하다. 엔젤시터에서 2024년 재가복지센터 창업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자료의 특징 ] 2024년 기준 적용 사업계획서, 운영규정, 예산서, 산출내역서가 모두 2024년 기준이 적용되었다. 일치 및 불일치 대표자가 시설장을 함께 할 수도 있고 따로 시설장을 고용할 수도 있다. 일치 또는 불일치 일 경우에 따라 자료를 분리했다. 방문요양 + 방문목욕 방문요양을 단독으로 하는 경우와 방문요양과 방문목욕을 함께 하는 경우를 .. 2023. 11. 8.
2024년 방문간호 서비스 수가 및 본인 부담금 방문간호서비스는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의 지시서를 받은 간호사가 어르신 댁을 방문하여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장기요양급여이다. 서비스 이용요금은 국가에서 85%를 지원하고, 나머지 15%가 본인부담금이다. 경제적인 수준에 따라 9%, 6%, 0%로 감경된다. 2024년 방문간호 서비스 수가 방문당 급여비용 본인부담(15%) 감경(9%) 감경(6%) 15분 이상 ~ 30분 미만 40,760원 6,114원 3,668원 2,446원 30분 이상 ~ 60분 미만 51,110원 7,667원 4,600원 3,067원 60분 이상 61,490원 9,224원 5,534원 3,689원 2024년 재가서비스 월 한도액 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인지지원등급 월 한도액 2,069,900원 1,869,600원 .. 2023. 11. 7.
2024년 방문목욕 서비스 수가 ( 차량 이용 또는 미 이용 ) 재가급여 월한도액내에서 방문목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방문목욕은 차량을 이용하는 차량내 목욕과 가정내 목욕, 방문목욕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아래는 2024년 방문목욕 수가 및 본인부담금이다. 구분 2024년 수가 2024년 본인부담 15% 9% 6% 0% 차량이용(차량 내) 84,670원 12,701원 7,620원 5080원 0원 차량이용(가정 내) 76,340원 11,451원 6,871원 4,580원 0원 차량 미 이용 47,670원 7,151원 4,290원 2,860원 0원 방문목욕 서비스는 주 1회 산정하며, 2인 이상 요양보호사 60분 이상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산정하고, 소요 시간이 40분 이상 60분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급여비용의 80%를 산정한다. 본인부담금은 수가의 .. 2023. 11. 6.
2024년 방문요양 월 한도액 및 시간별 이용요금 2024년 재가복지센터 방문요양 서비스에 대한 월 한도액과 서비스 비용과 본인부담금은 얼마인지 확인해 보자. 2024년 월 한도액 등급 월 한도액 1등급 2,069,900원 2등급 1,869,600원 3등급 1,455,800원 4등급 1,341,800원 5등급 1,151,600원 인지지원 643,700원 2024년 방문요양 요금 방문당 총 재가급여비용 본인부담(15%) 9% 6% 30분 16,630원 2,495원 1,497원 998원 60분 24,120원 3,618원 2,171원 1,447원 90분 32,510원 4,877원 2,926원 1,951원 120분 41,380원 6,207원 3,724원 2,483원 150분 48,250원 7,238원 4,343원 2,895원 180분 54,320원 8,148원.. 2023. 11. 3.
2024년 노인장기요양 변경 7가지 ( 가족휴가제 등 ) 1. 장기요양보험료율, 소득의 0.9182%로 결정 이는 건강보험료 대비 12.95%이다. 올해 대비 1.09% 인상되었다. 2. 장기요양 수가 평균 2.92% 인상 어려운 경제 여건을 고려하여 2018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보험료율 인상되었다. 노인공동생활가정과 단기보호 기관의 경우 경영난 해소와 운영 활성활를 위해 추가 인상분 반영되었다. 2024년 급여유형별 수가 인상률 ( 단위 : %) 3. 중증(장기요양 1·2등급) 재가 수급자의 이용 한도액을 인상 살던 곳에서 편안히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재가급여 강화한다. 이용 한도액을 인상하고 8시간 방문요양 이용횟수를 월 6일에서 8일로 상향 조정한다. 2027년까지 시설급여 수준으로 상향 조정한다. 4. 중증 수급자 가족 휴가제 도입 중증 재가수급자를.. 2023.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