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9

장기요양등급 의사소견서 발급 절차 및 서식 작성법 장기요양등급을 신청할 경우 공단에서 의사소견서 발급의뢰를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의사소견서 발급의뢰서와 치매지단 확인이 필요한 자에 대한 의견 서류를 모두 작성해야 한다. 의사소견서 발급 비용의사소견서 발급의뢰서를 안내받은 신청인은 소견서 비용의 일부 부담(20%, 10%) 또는 면제 대상이다. 본인부담금 전액 납부 대상자65세 미만자는 인정신청서를 공단에 제출 시 노인성 질환이 기재된 의사소견서를 함께 제출하여야 하며 이 경우 의사소견서 발급비용은 전액 본인이 부담하여 발급한다.  65세 이상인 경우에도 의사소견서 발급의뢰하기 전, 우선 발급 희망하는 경우에도 전액 본인부담금 부담이다. 의사소견서 발급 절차 및 작성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첨부파일을 확인해 보자. 다운로드   노인장기요양 의사소견서 .. 2024. 8. 8.
장애인 활동지원사 자격증 취득 및 취업 방법, 시급 등 A-Z까지 활동지원사는 활동지원급여를 받는 장애인의 가정을 방문하여 청소, 식사. 목욕 등 일상생활과 자립을 돕는 전문적인 인력이다. 현재 별도의 시험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지정된 교육기관에서 총 50시간의 교육 이수를 해야 한다. 자격 교육구분표준교육전문교육이론40시간32시간실습10시간10시간 표준교육은 신규가 받는 교육이고, 전문교육은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조무사)사 소지자 또는 아이돌보미, 가사간병도우미 등 정부돌봄 사업 최근 1년 이상 참여한 경력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론 교육을 하루 8시간씩 받으면 표준교육은 5일, 전문교육은 4일 걸린다.실습은 교육기관에서 연계해 제공해 주지 않는다.따라서 별도로 알아봐야 하는데 1일 5시간 실습을 받을 경우 이틀이 소요된다. 교육비활동지원사 자격 취득을 위한 .. 2024. 8. 7.
2024년 장기요양기관 시군구별 설립 통계 현황 ( 휴폐업 제외 ) 2024년 6월 30일 기준 전국의 요양원, 주야간보호센터, 방문요양, 방문목욕, 단기보호, 복지용구 등 장기요양기관에 대한 설립 현황 통계이다. 장기요양기관은 현재 총 28,722개이며, 시설급여 6,291개, 재가급여 38,008개이다.이는 전국 지자체(행복e음)으로부터 지정자료 기준이다. 2024년 시도별 장기요양기관 설립 현황 시군구별 상세 설립 현황도 확인해 볼 수 있다.시군구별 설립 현황엑셀 또는 PDF 파일로 보길 원할 경우 아래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전국 시군구별 장기요양기관 설립 통계 현황 ( 2024. 6. 30. 기준 )시도별 장기요양기관 현황시도합계요양시설공생방문요양방문목욕방문간호주야간보호단기보호복지용구총합계28,7224,625166617,..angelsitter.co.. 2024. 8. 6.
2024년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기준 변경 사항 ( 자동차, 부양의무자 기준 등 )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은 기준 중위소득에 따른 소득기준액과 급여별 선정 세부 기준에 따라 다르다.주거급여와 교육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적용되지 않으며, 의료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적용된다. 생계급여는 아직 고소득자 기준으로 남아있다. 또한 생계급여와 의료급여는 근로능력 유무에 따라 부분적으로 적용되기도 한다. 급여별 부양의무자 및 근로능력 유무 비교표 2025년 급여별  중위소득은 올해와 동일하나 기준 중위소득 100%가 인상되어 급여별 각각의 소득기준액 인상되었다.소득기준액 인상으로 인해 더 많은 분들이  수급자 자격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가구의 소득이 아래의 선정기준액이하 이어야 소득기준에 적합하다. 2025년 기초생활 급여별 선정기준액 또한 2025년에는 자동차 및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화된다.. 2024. 8. 5.
2024년 공공근로 일자리 등 모집 공고 ( 전남 강진군, 경기 여주시, 세종시 등 ) 전라남도 강진군2024년 하반기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참여자 모집 공고취업 취약계층의 생계유지에 필요한 소득을 일부 보조하며 군민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강진군에서 추진하는 「2024년 하반기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참여자를 아래와 같이 모집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가. 사 업 명 : 2024년 하반기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나. 접수기간 : 2024. 8 1.(목) ~ 8. 8. (목)※ 공고기간 : 2024. 7. 26.(금) ~ 8. 8.(목) / 13일간다. 모집인원 : 62명라. 구비서류 : 주민등록등본, 참여 신청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등마. 접 수 처 : 주소지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공고 자세히 보기 경기도 여주시구 분일 정비 고공 고2024. 7. 25.(목)• 여주시청 홈페.. 2024. 8. 2.
2025년 교육급여 소득기준액 및 교육활동지원비 2024년 교육급여는 중위소득 50%이다. 교육급여 대상자에게 교육활동지원비, 교과서비, 입학금수업료 등이 지원된다.초등학생에게 지원하는 교육활동지원비는 올해 대비 5.6% 인상된 487,000원이며 중학생 679,000원( +3.8% ), 고등학생 768,000원(+5.6%) 로 각각 인상되었다. 교육급여 ( 중위 50% )가구원 수2024년2025년1인 가구1,114,223원1,196,007원2인 가구1,841,305원 1,966,329원3인 가구2,357,329원 2,512,677원4인 가구2,864,957원 3,048,887원5인 가구3,347,868원 3,554,096원6인 가구3,809,185원 4,032,403원(단위 : 월 ) 2025년도 교육급여 보장수준(단위: 원)구분’23년’24년’2.. 2024. 8. 1.
2024년 8월 전국 장애인활동지원사 양성 교육 일정 모음 전국 활동지원사 양성 교육기관의 2024년 8월 교육 일정 모음이다. 해당 일정들은 장애인활동지원 홈페이지에서 발취한 내용으로 교육기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지역별 장애인활동지원사 교육기관 목록 서울서울장애인자립생활지원협회 휴먼케어교육센터 [서울시]과정기간문의처비고표준8/5(월) ~ 8/9(금) 문의시간: 09시~18시 전화 02-577-0398010-4784-0398 접수방법 : 온라인접수 및 전화접수 온라인 접수https://sadis.or.kr/접속후, 온라인수강신청 월~금월~목전문8/5(월) ~ 8/8(목)표준8/19(월) ~ 8/25(금)월~금월~목전문8/19(월) ~ 8/24(목)월~금표준8/26(월) ~ 8/30(금)전문8/26(월) ~ 8/29(목)월~목  (사)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 2024. 7. 31.
2025년 주거급여 소득기준액 및 월세 지원금 2025년 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48%이다.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주거급여 소득기준액 이하이면 주거급여 대상자가 된다. 2025년 주거급여 소득기준액가구원 수2024년2025년1인 가구1,069,654원 1,148,166원2인 가구1,767,652원 1,887,676원3인 가구2,263,035원 2,412,169원4인 가구2,750,358원 2,926,931원5인 가구3,213,953원 3,411,932원6인 가구3,656,817원3,871,106원( 단위 : 월 )주거급여는 전국을 4개 급지로 나눠 월세을 지원한다.지역별 최대 지원금은 아래와 같다.2025년 주거급여 기준 임대료구분 1급지(서울) 2급지 (경기·인천) 3급지 (광역·세종시·수도권 외 특례시) 4급지 (그외 지역) 1인35.2(+1.. 2024. 7. 30.
2025년 의료급여 소득 선정기준액 및 본인부담금 정률제 2025년 기초생활 수급자 의료급여는 올해와 동일 중위소득 40%로 결정되었다.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소득기준액이 낮아져 더 많은 사람들이 의료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의료급여 본인부담금에 대한 정률제가 도입된다. 의료급여 소득기준액 ( 중위 40% ) 가구원 수2024년2025년1인 가구891,378원956,805원2인 가구1,473,044원1,573,063원3인 가구1,885,863원2,010,141원4인 가구2,291,965원2,439,109원5인 가구2,678,294원2,843,277원6인 가구3,047,348원3,225,922원( 단위 : 월 )의료급여 변경 사항1. 연간 365회 초과한 외래진료는 본인부담을 상향하는 본인부담 차등제 도입을 추진( 다만, 아동, 임산부, 산정특례자(중증질.. 2024. 7. 29.
2025년 생계급여 소득 선정기준액 및 변경사항 2025년 생계급여의 선정기준액은 기준 중위소득 32%로 작년과 동일하며 기중 중위소득 100%의 인상으로 생계급여 기준액이 4인 가구 기준 7.34%  인상되었다. 1인 가구는 52,342원 인상되었고, 2인 가구 80,016원, 3인 가구 99,423원 각각 올랐다. 생계급여 소득기준액 ( 중위 32% ) 가구원 수2024년2025년1인 가구713,102원765,444원2인 가구1,178,435원1,258,451원3인 가구1,508,690원1,608,113원4인 가구1,833,572원1,951,287원5인 가구2,142,635원2,274,621원6인 가구2,437,878원2,580,738원( 단위 : 월 ) 가구의 실제 소득인 소득인정액이 소득기준액 이하이어야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고, 선정기준액과의.. 2024. 7.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