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노인요양 단기보호 수가 및 본인부담금, 감경률 적용
단기보호는 어르신이 단기간 입소하는 시설로서 월한도액을 이용하는 재가급여이다. 단기보호의 2022년 인상률은 4.17%로 평균 이상률 4.32%보다 밑이다. 2022년 급여유형별 수가 인상률 ( 단위 : % ) 급여유형 인상률 평균 4.32 요양시설 (요양원) 4.10 공동생활가정 4.28 주야간보호 4.13 단기보호 4.17 방문요양 4.62 방문목욕 4.15 방문간호 3.58 단기보호는 재각급여 월 한도액내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한도액을 넘어선 금액에 대해서는 100% 본인부담금으로 내야 한다. 2022년 재가급여 월한도액 ( 단위 : 원 ) 구분 21년 월한도액 22년 월한도액 1등급 1,520,700 1,672,700 2등급 1,351,700 1,486,800 3등급 1,295,400 1,350,..
2021. 10. 21.
2022년 방문간호 수가 및 본인부담금, 감경률 적용
방문간호 서비스는 몸이 불편하신 어르신의 가정에 간호사가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로서 재가급여를 통해서 이용이 가능하다. 재가급여의 월 한도액 내에서 방문간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한도액 초과 시 100% 본인부담금으로 내야 한다. 2022년 방문간호 1회당 수가 방문당 시간 ’21년 수가 ’21년 본인부담 ’22년 수가 ’22년 본인부담 30분 미만 36,530 5,480 37,840 5,676 30분~60분 미만 45,810 6,872 47,450 7,118 60분 이상 55,120 8,268 57,090 8,564 방문간호 1회당 본인부담금 방문간호의 본인부담금은 15%이며 내는 의료보험료에 따라 감경 본인부담금이 9% 또는 6%로 정해질 수도 있다. 기초생활 수급자는 별도의 본인부담금이 들..
2021. 10. 19.
2022년 요양원 이용요금 수가 및 본인부담금
요양원은 입소시설로서 한 달 또는 일수로 책정된다. 국가에서 80%를 지원하고 나머지 20%는 본인부담금이다. 2022년 노인요양시설 수가표 등급 22년 수가 22년 본인부담 (20%) 22년 본인부담 12% 22년 본인부담 8% 1 74,850 14,970 8,982 5,988 2 69,450 13,890 8,334 5,556 3,4,5 64,040 12,808 7,685 5,123 (단위 : 1일, 원) 기초생활 의료급여 수급자는 요양원 비용이 0원이며, 저소득층은 내는 의료보험료에 따라 감경률이 적용되어 12% 또는 8%가 적용될 수 있다. 장기요양기관 본인부담금 감경 대상자 적용 기준 및 계산법 요양원 본인부담금과 식사비, 간식, 상급침실료 등 비급여 비용이 별도로 있다. 비급여는 요양원마다 조금..
2021. 9. 29.
2022년 방문요양 이용요금 및 본인부담금 ( 감경률 포함 )
지난번에 2022년도 장기요양 수가표를 올린데 이어서 방문요양 비용에 관한 부분을 자세히 들여다보도록 하겠다. 수가표는 맨아래에 링크되어 있다. 방문요양센터를 이용할려면 먼저 장기요양등급을 받아야 한다. 이때 장기요양의 급여종류에는 재가급여와 시설급여로 나눠진다. 재가급여는 등급별로 월 한도액이 주어진다. 월 한도액 내에서 재가급여기관을 이용할 수 있다. 한도액 이상 사용에 대해서는 100%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2022년도 재가급여 월 한도액 (단위 : 원) 구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인지지원 등급 ’21년 한도액 1,520,700 1,351,700 1,295,400 1,189,800 1,021,300 573,900 ’22년 한도액 1,672,700 1,486,800 1,350,800 ..
2021. 9. 16.
2022년 장기요양 이용요금 수가표 및 장기요양보험료율
2022년도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요양원 이용요금에 대한 장기요양기관의 급여액과 본인부담금 기준을 정부에서 발표했다. 2022년에 장기요양 수가는 2021년 대비 평균 4.32% 인상되었고, 장기요양보험율은 12.27%로 결정되었다. 구분 21년 22년 변화 장기요양보험율 11.52% 2.27% 0.75% 인상 2022년 급여유형별 수가 인상률 급여 유형 평균 요양 시설 공동생활가정 주야간보호 단기 보호 방문 요양 방문 목욕 방문 간호 인상률 4.32 4.10 4.28 4.13 4.17 4.62 4.15 3.58 (단위 : %) 2022년 등급별 재가이용 월 한도액 구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인지지원 등급 ’21년 한도액 1,520,700 1,351,700 1,295,400 1,1..
2021. 9. 14.
노인 요양원 입소 비용 상세 설명 ( 식사비, 간식 및 기저귀 등 )
오늘은 요양원 이용요금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장기요양등급은 시설급여와 재가급여로 나눠진다. 시설급여는 입소 시설에서 이용하는 급여이다. 요양원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장기요양등급이 재가급여만 나오면 요양원에 입소할 수 없다. 따라서 재가급여를 받은 상태에서 요양원에 입소를 희망할 경우 사유에 따라 시설급여로 변경 신청이 가능하다. 요양원 이용요금은 본인부담금과 비급여 비용으로 나눠진다. 본인부담금 먼저 본인부담금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아래 표는 2021년 요양원 1일 입소 수가 표이다. 노인요양시설 비용 (단위 : 1일, 원) 등급 ’21년 수가 ’21년 본인부담 1 71,900 14,380 2 66,710 13,342 3,4,5 61,520 12,304 1등급을 받은 어르..
2021. 8. 9.
장기요양 이용요금의 모든 것 ( 모의계산기, 급여설명, 규정 자료실 )
엔젤시터에서는 방문요양센터,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센터, 단기보호, 요양원, 공생 등 장기요양기관의 이용요금, 모의계산기, 급여설명, 규정, 자료을 한 곳에 모은 장기요양 이용요금 홈을 오픈했다. 이용요금 홈은 장기요양기관별로 서비스 이용 시 이용요금표, 모의계산기, 급여설명이 나눠져 있다. 방문요양, 가족급여,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모의계산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용요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계산 내용을 저장하면 다른 급여들과 연동하여 모의계산을 할 수 있다. 2021년 수가표와 산정방법, 등급을 받는 절차 등 장기요양이용요금 관련된 콘텐츠를 한 곳에 정리되어 있다. 이용요금 관련 최신 게시물을 노출됩니다. 장기요양 이용요금 홈 바로가기
2021. 6. 25.
재가급여 방문 목욕 이용요금 및 본인부담금 정리
방문 목욕 서비스는 노인장기요양 재가급여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먼저 어르신의 등급에 따른 월 한도액을 알아야 한다. 2021년 재가급여 월 한도액 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인지지원등급 월 한도액 1,520,700원 1,351,700원 1,295,400원 1,189,800원 1,021,300원 573,900원 월 한도액 내에서 방문 목욕 뿐 아니라 방문요양,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주야간보호센터를 월 15일(1일 8시간 이상) 이상 이용 시 월 한도액 20% 한도 내에서 추가 이용 가능합니다. 방문 목욕 비용을 알아보겠다. 2021년 방문목욕 이용요금 방문목욕 서비스(방문당) 급여비용 본인부담(15%) 9% 6% 방문목욕 차량 이용한 경우 (차량내 목..
2021. 3. 18.
2021년 주간보호센터 월한도액과 이용요금 본인부담금, 가산율
주야간보호센터는 재가급여를 통해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재가급여는 등급별로 월 한도액이 정해져 있다. 2021년 재가급여 월 한도액 (공통) 구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인지지원등급 월 한도액 1,520,700원 1,351,700원 1,295,400원 1,189,800원 1,021,300원 573,900원 재가급여 월 한도액 내에서 주야간보호센터뿐 아니라 방문요양, 방문간호, 방문목욕, 단기보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재가 급여 대상자가 주간보호센터를 일정 기간 이용할 경우 월 한도액이 추가 증액이 된다. 주간보호센터 이용에 따른 월 한도액 증액률 이용 일수 증액률 일일 8시간 이용 시 15일 20% 인지지원 등급자가 일일 8시간 이용시 9일 30% 치매전담실 일일 8시간 이용시 15일 50%..
2021.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