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9

기초생활 수급자 급여별 부양의무자 조건 ( 생계급여, 주거급여 ) 기초생활 수급자 자격 조건은 가구 소득, 재산, 근로능력 여부 그리고 부양의무자 여부로 판정된다. 부양의무자는 수급자의 1촌의 직계혈족인 부모, 아들, 딸과 그의 배우자인 며느리, 사위, 계부, 계모 등이다.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의무자 기준에 충족되지 않을 수 있다. 소득과 재산이 없어 부양능력이 없는 경우, 해외 거주, 군인, 교도소, 구치소, 보호 감호, 행방불명, 그리고 부양하기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부양의무자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미혼, 기혼, 아들, 딸에 달라지기 때문에 자녀가 있다고 무조건 탈락하는 것은 아니다. 생계급여 생계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다. 올해부터는 만 65세 이상 노인과 한부모 가정에 대해서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했다. 2022년까지는 부양의무자.. 2021. 1. 26.
장기요양기관 본인부담금 감경 대상자 적용 기준 및 계산법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요양원 등 장기요양기관을 이용 시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은 감경 대상자로 지정될 수 있다. 지역 및 직장 가입자의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장기요양기관 이용요금 중 본인부담금 60% 감경 또는 40% 감경이 된다. 건강보험 지역가구 본인부담금 감경 적용 보험료 기준 ( 단위 : 원 ) 건강보험 가구원 수 지역가입자 건강산정보험료 본인부담금의 60% 감경 본인부담금의 40% 감경 1명 14,380원 이하 14,380원 초과 32,640원 이하 2명 43,800원 이하 43,800원 초과 120,700원 이하 3명 65,690원 이하 65,690원 초과 137,500원 이하 4명 83,830원 이하 83,830원 초과 152,940원 이하 5명 87,930원 이하 87,930원 초과.. 2021. 1. 25.
주간브리핑 ( 기초생활 주거급여, 활동지원사, 장기요양시설 구분 등 7건 ) 코로나19 기간 동안 장애인활동지원사 교육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집합 교육이 어려운 상황이다. 장애인활동지원사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내용 바로가기 2021년 기초생활 수급자 주거급여 지원액과 자격 조건 주거 급여는 근로능력 여부와 상관없다. 생계급여, 의료급여 해당자가 되지 않더라도 신청이 가능하다. 또한 청년 주거급여 분리가 2021년부터 시행되었다. 내용 바로가기 기초생활 수급자 - 재산의 공제 ( 재산소득 환산액 )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 시 재산 공제 및 소득 공제하는 제도가 있다. 재산이 있다고 신청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내용 바로가기 활동지원 서비스를 위한 등급 신청하는 방법 장애인이라도 활동지원 서비스를 별도로 신청하고 등급 심사를 받아야 한다. 장애인 활동 지원 서비스를.. 2021. 1. 25.
워크플로위 ( workflowy ) 단축키 정리 나의 메모 주 프로그램은 아웃 라이너형 방식의 다이널리스트( Dynalist )와 워크플로위( Workflowy )이다. 처음에는 다이널리스트를 자주 사용했으나 요즘은 워크플로위로 작성하는 시간이 늘었다. 좋고 나쁨의 이유가 아니라 활용법이 달라서 그렇다. 다이널리스트는 주로 후기, 소감, 일기 작성 등 장기적으로 보관하고 싶은 것들을 쓰고 워크플로위는 할 일, 계획, 프로젝트 기획, 주소록 등 수시로 보는 내용 위주로 작성한다. 처음에 워크플로위를 이용할 때 단축키를 몰라도 불편함을 몰랐던 것 같다. 조금씩 필요함에 의해서 단축키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번에 정리했다. 유용한 단축키 Tab : 들여 쓰기 ( 하위 리스트로 이동 ) Shift + Tab : 내어 쓰기 ( Tab의 반대 ) Ctrl + S.. 2021. 1. 24.
공동생활가정의 종류와 입소 자격 ( 노인, 장기요양, 장애인, 아동 ) 공동생활가정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노인복지법에 근거한 노인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 여건과 급식,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이지만 이용자는 전혀 다르다. 공동생활가정은 노인복지법 제 32조 제 1항에 근거한 노인주거복지시설이며 양로시설과 노인복지주택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용자층은 기초생활 수급자, 부양의무자로부터 적절한 부양을 받지 못하는 65세 이상 노인이 입소하거나 입소자가 직접 부담하여 거주할 수도 있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노인복지법 제34조 제 1항의 근거로 설립 및 운영되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이며 같은 조항의 시설로 노인요양시설(요양원)이 있다. 치매, 중풍, 노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이 입소를 한다. 구분 공동생활가정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법규 노인복.. 2021. 1. 23.
코로나19 기간 장애인활동지원사 교육 및 일정은? 코로나19로 인해 집합교육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 또는 요양보호사 교육원 교육을 받을 수 있는지 물어보는 사람이 많다. 요양보호사 교육원은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을 준수해 가면서 교육을 진행중에 있으며 실습은 교육원에서 동영상 교육으로 대체하고 있다. 장애인활동지원사 교육은 어떨까? 장애인활동지원 교육기관도 역시 사회적 거리두기 수칙에 맞게 교육 중에 있다. 대부분 비대면 화상교육으로 대체했다. 화상교육을 받으려면 프로그램 설치 및 사용법 교육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처음에 오리엔테이션 교육에 참여해야 한다. 장애인활동지원사가 되기 위해서는 총 40시간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교육과정 교육비 참여자 표준교육 40시간 5일 15만원 자격증 미소지자 전문교육 32시간 4일 12만원 자격증 소지.. 2021. 1. 23.
요양원과 요양병원을 구분하는 방법 ( 노인복지시설 구분 ) 요양시설 분야에 관심이 없으면 요양원과 요양병원을 잘 구분 못한다. 거의 비슷한 시설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생각보다 차이가 크다. 요양원은 장기요양기관이고 요양병원은 의료기관 즉 병원이다. 구분 노인복지법 의료법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원,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재가노인복지시설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재가노인지원서비스 노인주거복지시설 양로원 노인여가복지시설 경로당, 노인복지관 요양병원 요양병원은 의료법을 근거로 하는 병원이다. 요양원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병원이 아니다.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등도 모두 노인복지법을 따른다. 요양원과 요양병원의 차이점 구분 요양원 요양병원 보험적용 노인장기요양보험 국민건강보험 입소등급 1~5등급 없음 목적 돌봄 치료 및 돌봄 케어 요양.. 2021. 1. 22.
2021년 기초생활 수급자 주거급여 지원액과 자격 조건 주거급여는 다른 생계급여, 의료급여와 다르게 근로능력 여부를 보지 않는다. "근로능력 여부와 상관없음, 부양의무자 제도 폐지, 청년 주거 급여 분리 시행" 근로능력 여부와 상관없이 주거 급여, 교육 급여 대상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생계급여와 의료급여 대상자가 되지 못한다 하더라도 주거급여와 교육급여는 신청할 수 있다. 또한 2018년도에 주거급여에 대한 부양의무자 제도도 폐지했다. 2021년 주거 급여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45% 이하이다. 2021년 주거급여 기준 중위소득 ( 45% ) 가구 규모 소득인정액(원) 1인 가구 822,524 2인 가구 1,389,636 3인 가구 1,792,778 4인 가구 2,194,331 5인 가구 2,590,818 6인 가구 2,982,871 소득 인정액은 소득평.. 2021. 1. 22.
2021년, 서울형 뉴딜 일자리 사업 참여자 649명 모집 공고 글 최대 월 235만원, 최대 23개월 근무, 공휴일 유급 휴가가 있는 서울형 뉴딜 일자리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한다. 공고 내용을 아래와 같다. 1. 공 고 명 : 2021년 뉴딜일자리 참여자 모집 통합공고 2. 공고기간 : 2021.1.18.(월)~1.29.(금), 12일간 3. 접수기간 : 2021.1.25.(월)~1.29.(금), 5일간 4. 모집인원 : 649명 근로조건 ① 임 금 : 일급제(시간급 × 근무시간) - 시급 10,710원(서울형 생활임금 적용) ※ 식비 포함(별도 지급 안함) ② 근무기간 및 직무내용 : 사업별 근무기간 및 직무내용 확인 ※ 서울일자리포털 > 일자리서비스 > 뉴딜일자리 > 모집공고 > 21년 뉴딜일자리 참여자 통합모집 공고 게시물 클릭 > 통합공고 화면 하단 사업목록 중.. 2021. 1. 21.
2021년도, 35회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일정은 언제?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요양보호사 교육원에서 ① 240시간 교육 이수와 함께 ( 사회복지사 등 자격증 소지자는 40~50시간으로 교육 시간이 감면된다. ) ② 년 4회 있는 국가 시험에 합격을 해야 한다. 온라인 학습은 안된다. 시험이 4회밖에 없다보니 교육 이수 일정과 잘 맞춰야 한다. 현재 34회 시험 일정이 진행중이고 응시 접수는 이미 12월에 끝났다. 시험일 2월 20일과 합격자 발표 3월 9일 일정만 남았다. 제34회 시험 일정 응시원서 접수기간 인터넷: 2020.12.11.(금)~12.18.(금) 방 문: 2020.12.18.(금)~12.19.(토) 응시수수료 : 32,000원 시험장 공고일 : 2021.1.19.(화) 시험일 : 2021.2.20.(토) 합격자 발표 예정일시 : 202.. 2021. 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