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22

2023년 공공근로 일자리 정보 모음 ( 대구 군위군, 강진군, 고령군, 홍천군 ) 대구광역시 군위군 1. 사업명칭 : 2023년 하반기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2. 모집기간 : 2023. 8. 14.(월) ~ 8. 21.(월) 3. 사업기간 : 2023. 9. 11.(월) ~ 11. 17.(금) 4. 모집인원 : 79여명 정도 공고 바로가기 전라남도 강진군 근로 의사가 있는 군민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강진군에서 추진하는「2023년 하반기 공공근로사업」참여자를 아래와 같이 모집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사 업 명 : 2023년 하반기 공공근로사업 2. 접수기간 : 2023. 8. 7.(월) ~ 8. 16.(수) 18:00까지 / 10일간 3. 모집인원 : 17명 공고 바로가기 경상북도 고령군 1. 사 업 명 : 2023년 하반기 청년 일자리 공공인턴사업 2. 근무기간 : 202.. 2023. 8. 11.
2024년 기초생활 교육급여 선정 기준액 및 지원 내용 2024년 기초생활 수급자 중 교육급여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50% 이하인 경우 대상자가 된다. 교육급여 선정기준(단위: 원/월) 가구원 수 2023년 2024년 1인 가구 1,038,946원 1,114,222원 2인 가구 1,728,077원 1,841,305원 3인 가구 2,217,408원 2,357,328원 4인 가구 2,700,482원 2,864,956원 5인 가구 3,165,344원 3,347,867원 6인 가구 3,613,991원 3,809,184원 최저교육비 대비 교육활동지원비 보장수준(단위: 천 원) 구분 최저교육비 (A) 교육활동지원비 ’21(B) ’22(C) ’23(D) ’24(E) B/A C/A D/A E/A 초 461 286 62.2% 331 72.0% 415 90.2% 461.. 2023. 8. 10.
2024년 기초생활 주거급여 선정 기준액 및 월세 지원액 2024 주거급여는 중위소득 48%이다. 기준임대료는 가구별 1.1만원에서 2.7만원 인상되었다. 주거급여 선정기준액(단위: 원/월) 가구원 수 2023년 2024년 1인 가구 976,609원 1,069,654원 2인 가구 1,624,393원 1,767,652원 3인 가구 2,084,364원 2,263,035원 4인 가구 2,538,453원 2,750,358원 5인 가구 2,975,423원 3,213,953원 6인 가구 3,397,151원 3,656,817원 2024년 임차가구 기준임대료(단위: 만 원/월) 구분 1급지 (서울) 2급지 (경기・인천) 3급지 (광역·세종시・ 수도권 외 특례시) 4급지 (그외 지역) 1인 34.1 +1.1 26.8 +1.3 21.6 +1.3 17.8 +1.4 2인 38.2 .. 2023. 8. 9.
2023년 7차수 치매전문교육 교육일정 공고 및 상세 신청 방법 2023년 8월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 및 시설 종사자를 이한 치매전문교육 신청 공고가 나왔다. 아래는 신청 공고 내용이다. 치매전문교육 신청은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동일 신청시간대 타 지역본부도 신청이 가능합니다.…공지된 전산매뉴얼 및 교육 세부사항 필독 □ 신청대상: 재가 및 시설 장기요양기관 소속 요양보호사, 프로그램관리자(간호(조무)사, 물리(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시설장)…약 14,000명(복지용구 사업소는 치매전문교육 신청대상 아님) ※ (신설) 신청대상은 기관유형 상관없이 방문요양과정 또는 시설과정 모두 신청 가능 예시: (요양시설 근무) 방문요양과정 신청 가능, (재가기관 근무) 시설과정 신청 가능 □ 신청과정: 방문요양과정, 시설과정, 프로그램관리자과목 □ 신청일정: 이론 및 실습은 온.. 2023. 8. 8.
2024년 의료급여 선정기준액 및 본인부담금 확인하기 2024년 기초생활 의료급여 수급자 선정기준액은 중위소득 40%이다. 2024년 의료급여 선정 기준액 가구원 수 2023년 2024년 1인 가구 831,157원 891,378원 2인 가구 1,382,462원 1,473,044원 3인 가구 1,773,927원 1,885,863원 4인 가구 2,160,386원 2,291,965원 5인 가구 2,532,275원 2,678,294원 6인 가구 2,891,193원 3,047,348원 ( 월 / 중위소득 40% )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 기준액 이하이어야 선정될 수 있다. 소득인정액은 계산 방법이 복잡하므로 아래 페이지를 참고해 보자. 소득인정액 계산하는 방법 소득인정액 모의계산기 의료급여는 1종과 2종으로 나눠진다. 근로능력이 없으면 1종이며, 1종에 포함되지 .. 2023. 8. 7.
2024년 생계급여 선정기준액 및 지원금, 인상금액 확인하기 2024년 생계급여 선정기준액 및 지원금, 인상금액 확인하기 생계급여는 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운 기초생활 수급자에게 국가가 현금으로 지원하는 급여이다. 2024년 생계급여 선정 기준액은 기존 중위소득 30%에서 32%로 인상되었다. 1인 가구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인 14.40%가 올랐다. 이로 인해 생계급여액이 올해 보다 대폭 증가하고, 지원 대상가구도 증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2년도에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32% 이하이어야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다. 생계급여 선정 기준액 가구원 수 2023년 (중위 30%) 2024년 (중위 32%) 1인 가구 62만3,368 71만3,102 2인 가구 103만6,846 117만8,435 3인 가구 133만445 150만8,690 4인 가구 162만289.. 2023. 8. 4.
2024년 가구원수 별 기준 중위소득 100% 발표! 내년 기준 중위소득은 올해보다 4인 가구 기준 6.09% 인상되었다.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기준 중위소득 100% ( 단위 : 월 ) 가구원 수 2023년 2024년 1인 가구 2,077,892원 2,228,445원 2인 가구 3,456,155원 3,682,609원 3인 가구 4,434,816원 4,714,657원 4인 가구 5,400,964원 5,729,913원 5인 가구 6,330,688원 6,695,735원 6인 가구 7,227,981원 7,618,369원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되면 생계급여 기준액 등 복지 지원을 받는 가구가 증가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내년에는 더 많은 저소득층 가구가 지원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엔젤시터에는 기준 중위소득 100%를 바탕으로 30~300%까지 중위소득과 중위.. 2023. 8. 3.
2024년 기초생활 수급자 급여별 기준액 확인 ( 생계급여 역대수준 인상 ) 2024년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에 대한 선정 기준액이 발표되었다. 생계급여액 역대 최대 수준인 13.16%가 인상되었다. 2024년 생계급여가 1인가구 기준 89,734원 인상된 713,102원이며, 2인 가구는 141,589원, 3인 가구는 178,245원 인상된다. 2024년도 기초생활 급여별 선정기준(단위: 원/월)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교육 (50%) ’23년 103만8,946 172만8,077 221만7,408 270만482 316만5,344 361만3,991 ’24년 111만4,222 184만1,305 235만7,328 286만4,956 334만7,867 380만9,184 주거 (48%) ’23년 97만6,609 162만4,393 208만4,364 25.. 2023. 8. 2.
2023년 8월 전국 장애인활동지원사 양성 교육 일정 모음 2023년 8월의 전국 장애인활동지원사 양성 교육기관의 교육일정이다. 교육 일정은 장애인활동지원 홈페이지에서 발취한 내용이다. 서울 금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금천구] 과정 기간 문의처 비고 표준 8/7(월) ~ 8/11(금) 070-4035-4733 선착순 전화접수 (대리인 신청불가) 금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홈페이지 참고 월~금 (대면교육) 8/21(월) ~ 8/25(금) 9/4(월) ~ 9/8(금) 9/18(월) ~ 9/22(금) 전문 8/7(월) ~ 8/11(금) 월, 수, 목, 금 (대면교육) 8/21(월) ~ 8/25(금) 9/4(월) ~ 9/8(금) 9/18(월) ~ 9/22(금) 서울장애인자립생활지원협회 휴먼케어교육센터 과정 기간 문의처 비고 기본 8/7(월) ~ 11(금) 02)577-0398 .. 2023. 8. 1.
장기요양기관 재난 상황 대응 매뉴얼 및 신고체계 ( 화재, 전기, 가스, 태풍 등) 이 자료는 장기요양기관 내․외부에서 화재 발생, 안전사고, 자연 재난 등에 기관의 대응 매뉴얼 및 신고체계이다. ◈ 동 매뉴얼은 안전위험 발생 상황에서 장기요양기관의 역할을 제시한 자료임 1. 안전위험 발생 상황 ○ 장기요양기관 내ㆍ외부에서 화재 발생 ○ 안전사고(전기, 가스) ○ 자연 재난(태풍, 수해, 지진 등) 2. 대응 원칙 ○ 상황 발생 시 수급자의 안전한 대피 및 구조를 최우선 수행 ○ 수급자의 취약 특성을 고려하여 이동서비스 지원, 기저질환 등 건강 관리에 대한 의료지원, 돌봄 공백 방지 대책 수 ◈ 장기요양기관 수급자 행동 특성 • (의사소통 제약) 시각정보습득이나 음성의사소통에 제약이 있거나, 언어적 의사소통은 가능하나 의미적 소통에 어려움을 가져 재난 상황에 대한 이해 부족 발생 • (.. 2023. 7.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