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정보/기초생활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및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기준액 정리

by 소설프로그래머 2024. 7. 25.
반응형

 

내년도 기준중위소득 발표되었다.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가구별 소득을 나열 후 가운데 위치한 값을 100%로 발표한다.

이를 통해 기초생활 수급자, 한부모가족 등 13개 부처 74개 사업에 대해 복지 선정 기준으로 사용된다.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6.42%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2015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기준 중위소득 인상은 소득기준으로 올라감으로 인해 더 많은 사람들이 복지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준 중위소득 100%

가구원 수 1 2 3 4 5 6
기준
중위소득
2024 2,228,445원 3,682,609원 4,714,657원 5,729,913원 6,695,735원 7,618,369
2025 2,392,013원 3,932,658 5,025,353 6,097,773 7,108,192 8,064,805

(단위: 월)

 

또한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 기준액도 발표되었다.

생계급여 중위소득 32%,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주거급여 중위소득 48%, 교육급여 중위소득 50%로 올해와 동일하지만 기준 중위소득 100%가 올라감으로 인해 각각 급여별 선정기준액도 인상되었다.

 

엔젤시터에는 기준 중위소득 30~300%를 계산해 보기 쉽도록 올려 놓고 있다.

 

기준 중위소득 30~300% 확인하기

 

2024년도 및 2025년도 급여별 선정기준

가구원 수 1 2 3 4 5 6
교육급여
(중위 50%)
’24 1,114,223 1,841,305 2,357,329 2,864,957 3,347,868 3,809,185
’25 1,196,007 1,966,329 2,512,677 3,048,887 3,554,096 4,032,403
주거급여
(중위 48%)
’24 1,069,654 1,767,652 2,263,035 2,750,358 3,213,953 3,656,817
’25 1,148,166 1,887,676 2,412,169 2,926,931 3,411,932 3,871,106
의료급여
(중위 40%)
’24 891,378 1,473,044 1,885,863 2,291,965 2,678,294 3,047,348
’25 956,805 1,573,063 2,010,141 2,439,109 2,843,277 3,225,922
생계급여
(중위 32%)
’24 713,102 1,178,435 1,508,690 1,833,572 2,142,635 2,437,878
’25 765,444 1,258,451 1,608,113 1,951,287 2,274,621 2,580,738

(단위 : 월)

 

따라서 생계급여 3인 기준 올해 1,508,690원에서 99,423원 인상된 최대 1,608,113원을 받게 됩니다.

 

기초생활 수급자 급여별 상세 기준 자세히 보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