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년15

2023년 청년 복지 지원 확대 ( 청년도약계좌, 주거지원 등 ) 청년의 목독 마련, 주거 및 일자리 등을 지원하기 위해 예산을 대폭 증가했다. 2023년도에는 약 24조 1000억원 규모로 내년 예산안이 편성되었다. 청년도약계좌가 내년 새로 도입되고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의 청년이 월 40만~7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6%를 매칭해 이자를 붙여주는 방식도 지원한다. 청년도약계좌 신규 도입 - 5년 후 최대 약 5,000만 원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만기 5년, 청년 월 40~70만 원 + 정부 매칭 최대 6% ·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인원 확대 - 모집 정원 : 10.4만 명 → 17.1만 명 - 3년 후 최대 약 1,500만 원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만기 3년, 청년 월 10만 원 + 정부 매칭 최대 30만 원 · 자립준비 청년 지.. 2022. 10. 25.
기존주택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매입임대주택 지원 소득 및 자산 기준 기존주택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매입임대주택 지원은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한부모가족, 청년, 대학생, 신혼부부, 다자녀가구, 고령자에게 다가구주택·다세대·연립주택, 아파트 등을 LH 또는 지역별 지방도시공사에서 매입하여 시세 기준의 50% 이하 수준으로 저렴하게 임대하는 제도이다. 대상자 자격 기준 구분 지원대상 소득 및 자산기준 일반 저소득층 매입임대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한부모가족 등 무주택세대구성원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50% 이하 총자산 3억 2,500만 원 이하, 자동차 3,557만 원 이하 청년 매입임대 무주택자인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만19세~39세) 자격 순위별 소득 및 자산 기준 상이 (LH 및 지방도시공사 공고문 참조) 신혼부부 매입임대 I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신혼.. 2022. 5. 17.
연 9%대 금리 청년희망적금 예시 설명 및 신청 자격 조건 2년간 매월 50만원 한도내에서 적금을 넣으면 최대 36만원의 저축장려금을 더 지원해 주는 청년희망적금이 21일 출시한다. 만기는 2년이다. 만기까지 납부하는 경우 시중이자에 더해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한다. 저축장려금은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만큼 지원한다. 예를들어 은행제공금리를 연 5%로 가정하고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해 매월 50만원씩 2년간 총 1200만원을 납입했을 경우, 은행이자(세전)는 62만5000원이다. 여기에 저축장려금 36만원을 받고 이자소득세를 내지 않기 때문에 만기시 총 1298만 5000원을 받을 수 있다. 이는 금리 연 9.31%를 주는 일반적금 상품과 유사한 효과라는 것이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금리 9.31%짜리 일반적금에 가입해 매월 50만원씩 2년간 총.. 2022. 2. 8.
청년 자산형성 만들기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희망적금, 청년형소득공제 장기펀드 정부는 대한민국 청년의 일자리·주거·교육·복지 등 5개 분야 청년의 삶을 포괄하는 87개 과제를 담은 청년특별대책이라는 것을 8월에 발표했다. 오늘은 청년에게 맞춤형 자산형성을 위해 신규 도입하는 제도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2022년 기준중위소득표 바로가기 소득 기준에 따른 맞춤형 자산형성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소득 기준 지원혜택 납입한도 만기수령금 연소득 2,400만원 이하 * 저축액(월 10만원) 정부가 1~3배 매칭 연 120만원 (3년만기) (3년후) 720~1,440만원 *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요건도 충족 필요 연 120만원씩 총 3년을 납입하면 최종 720만원~1440만원을 수령하게 된다.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청년의 경우 저축액의 최대 3배까지 매칭해 3년 .. 2021. 9. 30.
청년특별대책, 청년에 1년간 월세 20만원씩 지원 검토 오늘 발표된 청년특별대책이 발표되었다. 크게 보면 청년에 대한 고용과 주거지원, 자립 정책으로 나눠진다. 여러 가지 중 오늘은 취약계층에게 약 15.2만에게 월세를 특별 지원하는 제도를 소개하고자 한다. 중위소득 60% 이하의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월 최대 20만 원을 1년간 한시적으로 지원한다. 2021년 기준 중위소득 60% ( 단위 : 원 ) 가구원 수 중위소득 60% 1인 가구 1,096,699 2인 가구 1,852,847 3인 가구 2,390,370 4인 가구 2,925,774 5인 가구 3,454,424 6인 가구 3,977,162 본인 소득에 대한 어떻게 계산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소득인정액을 통해서 할 수도 있고,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소득을 잡을 수도 있을 것이다. 기초생활 소득인.. 2021. 8.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