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장기요양 의료보험료 본인부담금 감경기준 변경
보험료 인상률을 반영한 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감경기준 2023년 변경 내용이다. 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감경 적용기준 가구원수 지역 직장 재산과표액 보험료 순위 보험료 순위 25% 50% 25% 50% 1명 19,780 - 67,940 88,620 122,000,000 2명 19,780 95,860 72,450 107,100 207,000,000 3명 29,210 104,760 84,900 134,120 268,000,000 4명 41,160 114,630 99,230 162,210 329,000,000 5명 44,050 117,780 124,070 189,460 389,000,000 6명이상 52,920 141,290 144,760 208,720 450,000,000 (단위 : 원) ) 보험료는 부과보험료가..
2023. 2. 14.
2023년 실업급여 상한액·하한액 및 실수령액 모의계산기
경제가 어려워지면 실업급여를 받는 사람도 증가한다. 실업급여는 월급에 따라 1일 실업급여액이 정해지며 1일 실업급여액이 크면 상한액으로, 1일 실업급여액이 작으면 하한액기준으로 받는다. 2019년 1월 이후 상한액 66,000원, 하한액 60,120원이였으나 올해부터 하한액이 61,568원으로 변경되었다. 즉 1일 실업급여액이 61,568원이 되지 않는다면 1일 실업급여액은 61,568원이 된다. 구분 상한액 하한액 2023년 1월 이후 66,000원 61,568원 2019년 1월 이후 66,000원 60,120원 2018년 1월 이후 60,000원 54,216원 2017년 4~12월 50,000원 46,584원 2017년 1~3월 46,584원 46,584원 2016년 ~ 43,416원 43,416원 ..
2023. 2. 13.
2023년 차상위계층 선정 기준액 및 소득인정액 계산
선정 기준 차상위계층은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이어야 한다. 2023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 50% 가구 규모 소득(월) 1인 가구 1,038,946원 2인 가구 1,728,078원 3인 가구 2,217,408원 4인 가구 2,700,482원 5인 가구 3,165,344원 6인 가구 3,613,991원 소득인정액은 월 근로(사업)소득과 재산을 월단위로 환산한 소득환산액의 합계이다.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 근로소득공제 재산의 소득환산액 = (재산 ‑ 기본재산액 ‑ 부채) × 소득환산율 근로(사업)소득은 30%를 공제하고 장애인, 학생등 근로유형에 따라 추가적인 공제가 있으며 재산도 공제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어려운 상황이라면 주민센터에 문의해 보자. 소득..
2023. 2. 9.
장기요양 의사소견서 수가 및 본인부담금 ( 2023년 3월 ~ )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따라 장기요양등급을 신청하는 분들은 의사소견서를 제출해야 할 수 있다. 의사소견서 발급의뢰서를 받게 되면 지정한 기일내에 반드시 의사소견서를 제출해야 한다. 3월 1일부터 개정된 의사소견서를 사용해야 한다. 3월 31일까지 기존서식을 이용하는 경우 2022년도 수가가 적용된다. 의사소견서 및 치매진단 관련 보완서류 발급비용 신청종류 구분 총금액 본인부담금 20% 10% 0% 최초신청 갱신신청 의사소견서 의료기관 (보건의료원 포함) 52,040 10,400 5,200 면제 보건기관 (보건소 및 보건지소) 48,000 9,600 4,800 면제 치매진단 관련 보완서류 의료기관 (보건의료원 포함) 25,520 5,100 2,550 면제 보건기관 (보건소 및 보건지소) 21,980 4,390 ..
2023.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