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22

노인 휴대폰 통신요금 및 교통비 등 요금감면 혜택 교통비 지원 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 지원 내용 : • 철도요금 감면 - 지하철 무료 이용 - KTX·새마을호·무궁화호 30% 감면 (KTX·새마을호는 토·일, 공휴일 제외) - 통근열차 50% 감면 방법 및 문의 : 이용 시 신분증 제시 (코레일 ☎1544-7788) 문화 활동비 지원 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 지원 내용 : • 고궁, 능원, 국·공립박물관, 국·공립 공원, 국·공립미술관 무료입장 • 국·공립국악원 입장료 50% 이상 할인 • 국가·지자체가 운영하는 공연장(대관공연 제외) 입장료 50% 할인 방법 및 문의 : 입장 시 신분증 제시 국민 건강보험료 지원 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이 있는 지역가입자 지원 내용 : • 소득·재산요건 만족 시 최대 30% 할인 지원 대상 : 70세 이상.. 2023. 5. 18.
2023년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 - 노령층편 2023년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 노령층편은 노인들을 위한 복지서비스에 대한 안내서이다. 생활지원, 주거지원, 건강, 고용, 돌봄, 법률, 사회참여 등 7가지 분야의 다양한 서비스를 소개한다. 이 PDF 책자는 노인들이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쉽게 찾고 이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작되었다. 아래는 목차이며 첨부파일은 목차 밑에 있다. 목차 다운로드 2023년 나에게 힘이되는 복지서비스 책자 ( 전체 내용 ) 2023년 사회복지 관련 사업안내 전체 생애주기별 복지 지원 혜택 모음 노인편 기준 중위소득에 따른 복지 지원 모음 2023. 5. 17.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긴급생계급여 ) 소득 기준 및 지원 내용 긴급복지지원은 갑작스럽게 위기상황에 놓인 가정에 정부가 긴급히 생계·의료·주거지원 등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서울시는 정부형 기준보다 완화된 서울시형 긴급복지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득기준 정부의 긴급복지지원 소득 기준이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인데 반해 서울시형은 100% 이하이다. 구분 기준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2,077,892원 2인 가구 3,456,155원 3인 가구 4,434,816원 4인 가구 5,400,964원 5인 가구 6,330,688원 6인 가구 7,227,981원 재산기준 재산기준 : 4억 900만원 이하 금융재산기준 : 1,000만원 이하 지원대상기준 갑작스러운 위기사유가 발생하여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 - 주소득자의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에 수용되는 등의.. 2023. 5. 17.
요양보호사 교육원 창업 직원 배치 기준 및 겸임 여부 요양보호사 교육원 설립에 따른 직원 배치 규정에 대해 알아보자. 직원 배치 기준 구분 자격기준 교육기관의 장 없음 교수요원 전임 1명 이상 외래 1명 이상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대표 및 원장은 특별한 자격 요건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교육요원은 아래와 같은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① 「고등교육법」 제14조제2항 및 제17조에 따른 교원 또는 겸임교원 (명예교수, 시간강사 등을 포함한다)으로서 대학에서 사회복지학과・노인복지학과 및 간호학과의 과목을 교수하는 자 (※ 해당학과 과목 중 영어 등 교양과목은 제외한다) ② 사회복지・노인복지 및 간호 분야의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가진 자로서 해당 분야 업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자 ③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사 1급, 「의료법」에 따른 의료인, 「식품위생법」에 따.. 2023. 5. 16.
2023년 자산형성지원 통장사업 안내 질의응답 PDF 다운로드 희망저축계좌 Ⅰ, 희망저축계좌 Ⅱ,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및 유지, 해지에 대한 질의응답집 목차와 및 첨부파일이다. 첨부파일은 맨 하단에 있다. 목차 1. 공통 Ⅰ. 가입 1. 지원대상 2 2. 소득기준 9 3. 신청방법 10 4. 복지로 16 Ⅱ. 유지 18 1. 자격요건 18 2. 지원금 기준 19 3. 적립방법 27 4. 적립중지 30 Ⅲ. 교육 33 1. 교육이수 기준 33 2. 교육방법 38 Ⅳ. 해지 41 Ⅴ. 예탁 및 반납 44 Ⅵ. 자산형성포털 49 1. 가입관련 49 2. 가입정보・지원금 확인 51 3. 적립중지 및 해지 52 2. 희망저축계좌 Ⅰ Ⅰ. 가입 56 Ⅱ. 유지 58 Ⅲ. 해지 3. 희망저축계좌 Ⅱ Ⅰ. 가입 76 Ⅱ. 유지 84 Ⅲ. 해지 85 3. 청년내일저축계좌 Ⅰ. 청.. 2023. 5. 15.
요양보호사 자격증 발급 기준 및 교육원 수료 기준 ( 결석 몇 번 가능? ) 오늘은 요양보호사 자격증 발급 요건과 요양보호사 교육원 교육 이수시 결석이 가능한지 알아보자. 첫번째, 결격 사유 확인 요양보호사 자격으로서 결격 사유가 없어야 한다. 자격증 발급 시 건강진단서를 첨부해야 한다. 다양한 결격 사유가 있으니 아래 페이지를 확인해 보자. 요양보호사 자격 결격 사유 두번째, 시험 합격 확인 요양보호사 자격 시험은 올해부터 컴퓨터 시험이 추가되었고 일정도 늘어났다. 1교시, 2교시 각각 60점 이상을 확득해야 한다. 문제 자체는 그렇게 어렵지 않다. 시험 문제 대부분은 요양보호사 표준교재안에서 출제가 되어 교육이수만 충실히 받으면 합격이 된다. 시험 합격률이 90% 정도 된다. 세번째, 교육원 이수 확인 실습을 포함해 총 240시간을 이수해야 하며, 간호사는 40시간, 사회복지.. 2023. 5. 15.
2023년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 노령층 대상 책자 PDF 2023년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 중 노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 서비스의 종류와 안내 첨부파일이다. 생활지원 01 기초연금제도 06 02 긴급복지 지원제도 07 03 노후긴급자금 대부 사업 09 04 노후준비서비스 10 05 어르신을 위한 요금감면 제도 11 06 은퇴금융 아카데미 13 주거지원 07 주택연금제도 14 08 기존주택 일반 저소득층·신혼부부·청년 등 매입임대주택 지원 15 09 행복주택 공급 16 10 에너지바우처 18 건강·의료 11 국가건강검진제도 20 12 노인 안검진 및 개안수술 22 13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23 14 노인 치과 임플란트 지원 24 15 노인 틀니 지원 25 16 노인 무릎인공관절 수술 지원 26 17 지역사회통합 건강증진 사업 27 18 어르신 국가예방.. 2023. 5. 12.
2023년 공공근로 일자리 정보 모음 ( 서울시 청년 일자리, 화순군, 거창군, 예산군 등 ) (서울시 청년사업)「미래 청년 일자리 사업」참여자 모집 1. 공 고 명 :「미래 청년 일자리 사업」참여자 모집 2. 공고기간 : 2023. 5. 8.(월) ∼ 5. 26.(금) [19일 간] 3. 신청기간 : 2023. 5. 15.(월) ∼ 5. 26.(금) 18:00까지 [12일 간] 4. 신청방법 : 청년몽땅정보통(https://youth.seoul.go.kr) 온라인 신청 5. 모집인원 : 총 203개 참여기업 594명모집 - 온라인콘텐츠 분야 : 104개 기업 314명 모집 - 제로웨이스트 분야 : 47개 기업 115명 모집 - 소셜벤처 분야 : 52개 기업 165명 모집 6. 신청자격 : 만19세~39세 서울 거주 미취업 청년(1984.1.1.~2003.12.31. 출생 기준) ※ 국민기초생활수.. 2023. 5. 12.
2023년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 PDF 책자 다운로드 목차 복지서비스 가이드 복지가 궁금하신가요? 나에게 힘이 되는 안내책자 똑똑하게 활용하세요! 08 복지는 쉽다 10 알려드립니다 12 1장 생계 지원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생계를 유지하기가 힘들 때 16 생활에 갑작스러운 위기가 닥쳤을 때 20 주택문제로 어려움을 겪을 때 23 재정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42 일상의 불편함, 부족함을 해소하고 싶을 때 43 2장 취업 지원 일자리를 찾고 계신가요? 실직으로 곤란을 겪고 있을 때 52 생계가 어려운 분들이 일자리를 원할 때 57 생계가 어려운 분들이 자립자금이 필요할 때 58 여성이 일자리를 원할 때 62 여성이 기업 운영을 원할 때 63 중장년층이 일자리를 원할 때 66 청년이 일자리를 원할 때 69 3장 임신, 보육 지원 아이를 낳는 것도 키.. 2023. 5. 11.
2023년 대구형 생계급여 ( 시민행복보장제도) 소득기준액 및 지원금액 대구형는 기초생활보장급여를 받지 못하는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차상위계층 중 소득과 재산이 동시 충족하면 시민행복보장제도를 통해 행복급여와 해산급여, 장제급여, 동절기 난방비를 지원한다. 소득기준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50% 1인가구 1,038,946원 2인가구 1,728,078원 3인가구 2,217,408원 4인가구 2,700,482원 5인가구 3,165,344원 6인가구 3,613,991원 2023년 기준중위소득 기준 재산기준( 선정 제외 ) 금융재산 2,500만원 초과, 재산의 소득환산율 월 100% 적용 자동차 소유 ※ 고소득(1.3억), 고재산(11.7)억의 부양의무자가 있는 경우 지원제외 신청방법 및 문의 본인, 친족 및 기타관계인이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문의) 지원내용.. 2023. 5.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