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22

복지 캘린더 달력형 -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일정 보기 엔젤시터에서 복지 캘린더를 오픈했습니다. 복짘캘린더는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일정, 각종 복지 일정, 요양기관 시설 일정표로 나눠집니다. 이달의 복지캘린더 바로가기 angelsitter.co.kr/calendar.php 아래의 캡쳐 이미지는 요양보호사 및 치매전문교육 일정표입니다. 복지 카테고리를 누르면 복지 관련 일정표만 볼 수 있습니다. 기관(시설) 카테고리를 누르면 요양기관 시설님들이 참고해야 할 일정들이 나옵니다. 전체 카테고리를 누르면 교육, 복지, 기관(시설)의 모든 일정이 다 나옵니다. 내용이 많이 복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를 선택해 보는 것이 눈에 잘 들어옵니다. 이달의 복지캘린더 바로가기 angelsitter.co.kr/calendar.php 2020. 9. 13.
2021년 장기요양기관 급여 수가는 얼마나 증가했을까? 보건복지부가 21년도 장기요양수가 인상률을 발표했습니다. 요양원, 공생, 주야간보호센터, 단기보호센터, 방문요양, 방문간호, 방문목욕 등에 대해서 인상률이 얼마가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1년 장기요양 수가는 '20년 대비 평균 1.37% 인상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유형별 인상률로는 방문요양급여 1.49%, 노인요양시설 1.28%, 공동생활가정 1.32% 등 전체 평균 1.37% 인상될 예정이다. [ 2021년 급여유형별 수가 인상률(%) ] 시설서비스등급별 이용금액 및 재가서비스의 월 이용한도액 등 발표 전체 내용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2021년 장기요양보험료율 ( 전제 내용 ) 2021년도 장기요양보험율, 보험료 인상률, 시설서비스 1일 급여 비용, 재가 서비스 등급별 월 이용한도 액 등이.. 2020. 9. 12.
2021년의 기초생활 수급자 급여 및 중위소득표 2021년 기초생활 수급자 급여와 가구당 중위소득이 발표되었습니다.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가구 교육급여 (중위 50%) 91만3916 154만4040 199만1975 243만8145 287만8687 331만4302 주거급여 (중위 45%) 82만2524 138만9636 179만2778 219만4331 259만0818 298만2871 의료급여 (중위 40%) 73만1132 123만5232 159만3580 195만516 230만2949 265만1441 생계급여 (중위 30%) 54만8349 92만6424 119만5185 146만2887 172만7212 198만8581 (단위 : 원/월) 중위소득은 2020년 대비 2.68%가 상승합니다. 가구원수 2020년 2021년 1인.. 2020. 8. 12.
2021년 최저 임금 얼마? 2020년 8,590원입니다. 작년에 발표되었구요. 최저임금 8,720원 2021년 최저임금이 8,720원으로 7월 14일 확정되었습니다. 전년대비 1.5% 인상으로 역대 최저 인상률이라고 합니다. 아마 코로나19의 영향가 미친 것 같습니다. 최저 임금은 근로자 임금, 기초생활수급자 급여, 노인장기요양 급여 등 각종 수급자 급여와 연동됩니다. 저소득자의 실생활에 영향을 많이 미칩니다. 빨리 최저 임금이 1만원 넘는 시대가 왔으면 좋겠습니다. 2020. 7. 23.
생활지원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에 대해서 알아보자 생활지원사란 직업을 아시나요? 처음들어보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2020년부터 실시하는 65세 이상 생활환경이 취약한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 수행 인력입니다. 모든 노인 대상은 아니고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초연금 수급자 분들이죠. 기존에 생활관리사와 노인돌보미가 있었는데 올해 들어서 생활지원사로 통합되었습니다. 생활지원사는 방문 요양보호사처럼 가정을 방문하여 어르신의 불편함을 도와드리는 역할을 합니다. 어르신들에게는 정말 소중하신 분일 겁니다. 현재는 생활지원사가 되기 위해 별도의 자격증 취득 과정은 없지만 요양보호사나 장애인활동지원사처럼 교육이수를 해야 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요양보호사와 사회복지사 소지자는 우대합니다. 수행기관으로 지정된 복지관에 공개 모집을 통해서.. 2020. 7. 20.
장애인활보조인 가족 돌봄도 가능할까? 장애인활동지원사(장애인활동보조인)는 가족 돌봄이 안된다고 하는데 정말 그럴까? 정답부터 말씀드린다면 원칙적으로는 안되지만 여건에 따라 가족 돌봄이 가능합니다.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요양보호사와 다르게 가족을 돌 볼 수 없습니다. 돌봄 허용이 안되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가족의 관계에 대해서 자세히 보면 장애인활동지원사의 배우자, 직계횔족, 형제, 자매- 활동지원인력의 배우자, 직계혈족, 형제·자매 - 활동지원인력의 직계혈족의 배우자 - 활동지원인력의 배우자의 직계혈족 및 형제·자매 배우자 - 남편, 아내 ※ 사실혼 포함 직계혈족 -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손자, 손녀 등 형제·자매 - 오빠, 형, 언니, 누나, 남동생, 여동생 직계혈족의 배우자 - 며느리, 사위, 손자며느리.. 2020. 7. 18.
어떤 돌봄 직종 자격 취득할까? ( 요양보호사, 장애인활동지원사, 생활지원사, 간병인 등 ) 요양보호사 요양보호사는 요양보호사 교육원에서 교육이수와 년 4회 실시하는 시험에서 합격해야 하는 국가 자격증으로 요양원,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등 요양기관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의 모든 것 ( Q&A ) 장애인활동지원사 기존의 장애인활동보조인이 2019년 4월 장애인활동지원사로 변경되었습니다. 방문요양보호사처럼 가정을 방문하여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유사하지만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 다릅니다. 현재는 자격증 시험은 없으며 일주일간 교육 이수 및 현장 실습을 받으면 장애인활동지원사로 일을 할 수 있습니. 장애인활동지원사의 모든 것 ( Q & A ) 생활지원사 기존의 노인돌봄 사업의 생활관리사와 노인돌보미와 통합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수행 인.. 2020. 7. 16.
요양원, 요양병원, 주간보호센터 오프라인 광고 전략 모음 요양원,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등 요양기관에서는 주로 어떤 종류의 광고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요양기관 오프라인 광고의 종류 ① 현수막 광고 ② 버스 광고 ③ 전단지 및 명함 (아파트, 경로당, 병원, 약국, 요양기관, 종교시설 ) ④ 판촉물 ( 달력, 물티슈, 부채, 수건 등 다양 ) ⑤ 미디어 매체 ⑥ 센터 차량 광고 ⑦ 지역 행사 ( 이장단모임, 부녀회모임, 체육회 등 ) ⑧ 타 요양기관과 연계 ⑨ 요양병원, 약국 리플릿 비치 ⑩ 지인 소개 광고 ⑪ 공단 보호자 교육 대상자 영업 2. 주요 광고 방법 전단지 광고 A4 전단지 4천장, B5(16절지)로 8천장을 많이 제작한다. 종이 재질은 아트 80g~100g을 사용한다. 제작비용은 A4 기준 4천장 4~10만원이다. B5 제작 또는 .. 2020. 7. 14.
장기요양기관 이용 노인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 장기요양기관 이용자수는 2018년 기준 670,810명이며 85세 이상이 222,460명 ( 32.6%)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65세 미만은 30,504명으로 1%로 나타났습니다. 2019년 장기요양기관 실태 조사 최종 보고서를 참고했습니다. 전체 내용을 보길 원하시면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으십시오. 장기요양 실태조사 최종보고서 (2019 ) 방문요양센터, 요양원 등 노인장기요양기관 이용자 현황, 기관 현황, 급여 지급 현황 등 조사 보고서입니다. angelsitter.co.kr 2020. 6. 12.
2020년 기준 중위소득표 ( 기초생활, 차상위, 저소득층 판단 기준 )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총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하여 차례를 정할 때 한가운데를 차지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국가 긴급 재난금 지급으로 해서 중위소득에 대해서 언론에 많이 나왔습니다. 기초생활 또는 차상위 복지혜택 수급자의 소득의 기준이 됩니다. 2020년 기준 중위소득(단위:원) 가구원 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중위소득 150% 2,635,791 4,487,970 5,805,866 7,123,761 8,441,657 9,759,552 중위소득 120% 2,108,633 3,590,376 4,644,692 5,699,009 6,753,325 7,807,642 중위소득 100% 1,757,194 2,991,980 3,870,577 4,749,174 5,627,771 6,5.. 2020.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