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번에 최저시급 관련 포스팅을 했지만 이번에는 주휴수당과 월 임금 정확한 계산 방법에 포커스를 맞춰서 정리를 해 보려고 한다.
주휴 수당을 이야기하기 전에 먼저 2021년 시급을 먼저 알아야 한다.
2021년 시급
2021년도 시급은 8,720원이다.
모든 사업, 사업자에 2021년 1월 1일 이후 적용되며 위반 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주휴수당 계산
① 주 15시간 이상 근무
② 주 개근 시
1일분의 임금을 더 받는 것을 주휴수당이라고 한다.
40시간 ( 일일 8시간 주 5일 ) 이 기준으로 8시간이 추가된 주휴수당을 받는다.
주 40시간 이상 근무해도 최대치는 8시간이다.
8,720원 x 8시간 = 69,760원 ( 40시간 기준 )
만약 주 40시간 미만으로 근무한 경우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
(근로시간 / 주40 ) x 8시간 x 최저임금 = 주휴수당
주 15시간 근무를 했다고 가정한다면
( 주휴 수당을 받기 위한 최저 근무 시간 )
(15시간 / 40시간 ) x 8시간 x 8,720원 = 26,160원
월 최저 임금 계산
주 40시간 소정근로시간 ( 일일 8시간, 주5일 )로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 최저 임금을 계산해 보겠다.
( 주 근로시간 40시간 + 주휴수당 8시간 ) * 4.345주 = 209시간 ( 월 근무시간 )
정확히는 208.56 시간이다.
209 월 근무시간 x 8,720원(시급) = 1,822,480원 ( 주휴수당 포함 )
4.345주인 이유는 1년(365÷12)÷7일로 계산한 값이다.
다시 정리하자면 2021년
시급은 8,720원이고
주휴수당은 69,760원이며 ( 주 40시간 기준 )
월 최저임금은 1,822,480원이다.
반응형
'취미·생각정리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인증서 폐지 후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 (0) | 2020.12.21 |
---|---|
2021년, 신용등급 사라지고 신용점수제 시작! ( 카드발급 조건 확인 ) (0) | 2020.12.16 |
사회적 거리두기 5 단계별 상세 대응 지침 ( 학원 포함 ) (0) | 2020.12.06 |
사회적거리두기 2단계+알파 시행 ( 백화점, 이미트 9시 이후 금지 ? ) (0) | 2020.11.30 |
자주 틀리는 외래어 한글 표기법 모음 ( 매뉴, 윈도우, 센타, 쥬스 총 정리 ) (0) | 2020.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