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장기요양보험료율은 2024년도와 동일한 0.9182%로 결정되었다. 건강보험료 대비 12.95%이다.
장기요양보험료율에 따라 장기요양보험료 부담이 생길 수 있으나 이번 동결에 따라 장기요양보험료에는 변화가 없다.
장기요양보험료율의 변화
구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소득대비 보험료율 |
0.5497% | 0.6837% | 0.7903% | 0.8577% | 0.9082% | 0.9182% | 0.9182% |
(인상률) | 19.37% | 24.38% | 15.59% | 8.53% | 5.89% | 1.09% | - |
건보료대비 보험료율 |
8.51% | 10.25% | 11.52% | 12.27% | 12.81% | 12.95% | 12.95% |
(인상률) | 15.30% | 20.45% | 12.39% | 6.51% | 4.40% | 1.09% | - |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 대비 부담을 하게 된다.
장기요양보험료 계산법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 장기요양보험료율(0.9182) / 건강보험료율(7.09)
건강보험료도 동결되어 7.09%이다.
참고로 보수액에 따른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다.
보수월액보험료(월) = 보수월액 × 보험료율(7.09%) ※ 가입자 및 사용자 각각 50%씩 부담
소득월액보험료(월) = 소득월액 × 보험료율(7.09%)
2025년 장기요양 수가는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2025년도 노인장기요양기관별 수가 및 발표 전문 다운로드
2025년 방문요양, 요양원, 주간보호센터 등 장기요양기관의 이용 수가가 발표되었습니다.국민의 보험료 부담 여력과 재정 여건..
angelsitter.co.kr
반응형
'노인장기요양 > 장기요양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노인장기요양 변경 사항 모음 ( 수가 및 장기요양급여 제공기준 등 ) (0) | 2025.01.13 |
---|---|
2025년 장기요양 서비스 주요 변경 사항 정리 (0) | 2024.11.06 |
장기요양등급 의사소견서 발급 절차 및 서식 작성법 (0) | 2024.08.08 |
2023년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정기 평가 등급 발표 (0) | 2024.03.07 |
2024년 노인장기요양 변경 7가지 ( 가족휴가제 등 ) (0) | 2023.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