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장기요양 서비스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자.
재가서비스 1, 2등급 월한도액 대폭 강화
중증 수급인 장기요양등급 1등급, 2등급 수급자에게 충분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재가급여 서비스 월 한도액을 대폭 상향했다.
구분 | 2024년 | 2025년 |
1등급 | 2,069,900원 | 2,306,400원 |
2등급 | 1,869,600원 | 2,083,400원 |
장기요양 가족휴가제 확대
구분 | 2024년 | 2025년 |
단기보호 | 10일 | 11일 |
종일방문요양 12시간 | 20회 | 22회 |
재가 서비스 확대
통합재가서비스 | 한 기관에서 다양한 재가급여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24. 120개소 → ’25. 225개소 목표) |
재택의료센터 |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가 함께 방문진료 및 간호 등 의료-요양 통합서비스 제공(‘24. 95개소 → ’25. 150개소 목표) |
재가노인주택 안전환경조성 | 1인당 생애 100만원 한도 내에서 문턱 제거, 미끄럼 방지 타일 등 안전 관련 품목 등을 설치하는 사업 (‘24. 5,400명 → ’25. 8,100명 목표) |
중증 수급자의 주·야간보호 기관 접근성 제고
· 특장차량(휠체어 리프트 차량 등) 구비 시에는 지원금을 지급
· 조리원을 추가배치하는 경우에는 인력추가배치 가산을 지급
한국형 유니트케어 사업 확대
유니트케어 : 시설에서도 집과 같은 환경에서 생활이 가능하도록 소규모(9인 이하) 인원을 하나의 ‘유니트(시설 내 거주·돌봄 단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모델(‘24. 36유니트 → ’25. 54유니트 목표)
전문요양실 : 시설 내 간호처치가 필요한 수급자 대상으로 방문간호 수준의 간호처치 제공(‘24. 30개소 → ’25. 50개소 목표)
반응형
'노인장기요양 > 장기요양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방문간호지시서(1회당) 및 의사소견서 발급비 확인하기 (0) | 2025.01.14 |
---|---|
2025년 노인장기요양 변경 사항 모음 ( 수가 및 장기요양급여 제공기준 등 ) (0) | 2025.01.13 |
2025년 장기요양보험료율 및 계산 방법 소개 (0) | 2024.11.01 |
장기요양등급 의사소견서 발급 절차 및 서식 작성법 (0) | 2024.08.08 |
2023년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정기 평가 등급 발표 (0) | 2024.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