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6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시험 전에 실습 이수해야 하나?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 교육원에서 교육 이수와 년 4회 있는 시험에 합격을 해야 합니다. 요양보호사 교육 이수는 이론 80시간, 실기 80시간, 실습 80시간입니다. 문제는 코로나19로 요양기관에서 실습이 어렵다는 겁니다. 그래서 올해 법을 개정했습니다. 1.「노인복지법 시행규칙」제29조의2(요양보호사 자격시험 응시자격 등) 개정 개정 전 제29조의2(요양보호사 자격시험 응시자격 등) ① 법 제39조의2제2항에 따른 요양보호사 자격시험(이하 "자격시험"이라 한다)에 응시하려는 자는 법 제39조의3에 따른 요양보호사를 교육하는 교육기관(이하 "요양보호사교육기관"이라 한다)에서 제2항에 따른 소정의 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개정 후 제29조의2(요양보호사 자격시험 응시자격 등) .. 2020. 9. 18.
32회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시험 합격자 발표 어디서? 32회 요양보호사 시험이 8월 말에 있었습니다. 코로나19로 수도권 일부가 취소되었지만 다른 지역은 정상적으로 일정이 진행되었습니다. 오늘 합격자 발표를 했는데요. 응시자가 42,260명이고 합격자는 37,265명이였습니다. 합격률은 88.2%였습니다. 합격하신 모든 분들에게 축하드립니다. 합격자 확인은 국시원에서 합니다. 국시원 요양보호사 시험 합격자 발표 확인 페이지로 이동하기 역대 평균 요양보호사 합격률 바로가기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평균 합격률 요양보호사 시험 2016년부터 최근까지 10회차 평균 합격률입니다. 지난 10회 동안 평균 합격률은 86%입니다. 최저 합격률은... angelsitter.co.kr 2020. 9. 17.
32회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합격자 발표 일시 32회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은 8월 29일 토요일 있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서 수도권 지역은 취소되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시행되었습니다. 시험 합격자는 9월 17일 ( 목요일 ) 10: 00시 발표 예정입니다. ( 오늘 발표되어 맨아래 링크를 해 놓았습니다. ) 합격자 확인은 국시원 홈페이지에서 발표합니다. 국시원 홈페이지가 개편되다 보니 링크가 나오는데로 링크를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올해의 남의 요양보호사 시험 일정도 궁금할 겁니다. 달력으로 보는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일정 링크를 참고하세요. 복지캘린더 - 자격증, 장기요양 및 복지 일정표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일정표, 노인장기요양 일정, 요양원 및 요양기관 스케줄, 복지 달력 등 angelsitter.co.kr 모바일로 볼 경우에는 타임라인형.. 2020. 9. 14.
복지캘린더 타임라인형 - 장기요양, 자격증, 사회복지 일정표 엔젤시터에는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장기요양 및 사회복지 일정을 알려주는 달력을 개발한데 이어서 달력이 아닌 남은 일정 형태로 알려주는 타임라인형 일정표를 오픈했습니다. 일정은 순서대로 보여주며 남은 기간도 숫자로 알려줘서 한눈에 들어 옵니다. 복지일정표를 통해서 중요한 일정을 놓치는 일이 없으셨으면 합니다. 복지일정표 달력형도 같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복지스케줄러 - 몇일 남았나? 요양보호사 자격증 시험 일정 및 장애인활동지원사 교육 일정, 요양원 및 노인장기요양기관 달력 등 angelsitter.co.kr 2020. 9. 13.
복지 캘린더 달력형 -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일정 보기 엔젤시터에서 복지 캘린더를 오픈했습니다. 복짘캘린더는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 일정, 각종 복지 일정, 요양기관 시설 일정표로 나눠집니다. 이달의 복지캘린더 바로가기 angelsitter.co.kr/calendar.php 아래의 캡쳐 이미지는 요양보호사 및 치매전문교육 일정표입니다. 복지 카테고리를 누르면 복지 관련 일정표만 볼 수 있습니다. 기관(시설) 카테고리를 누르면 요양기관 시설님들이 참고해야 할 일정들이 나옵니다. 전체 카테고리를 누르면 교육, 복지, 기관(시설)의 모든 일정이 다 나옵니다. 내용이 많이 복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를 선택해 보는 것이 눈에 잘 들어옵니다. 이달의 복지캘린더 바로가기 angelsitter.co.kr/calendar.php 2020. 9. 13.
2021년 장기요양기관 급여 수가는 얼마나 증가했을까? 보건복지부가 21년도 장기요양수가 인상률을 발표했습니다. 요양원, 공생, 주야간보호센터, 단기보호센터, 방문요양, 방문간호, 방문목욕 등에 대해서 인상률이 얼마가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1년 장기요양 수가는 '20년 대비 평균 1.37% 인상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유형별 인상률로는 방문요양급여 1.49%, 노인요양시설 1.28%, 공동생활가정 1.32% 등 전체 평균 1.37% 인상될 예정이다. [ 2021년 급여유형별 수가 인상률(%) ] 시설서비스등급별 이용금액 및 재가서비스의 월 이용한도액 등 발표 전체 내용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2021년 장기요양보험료율 ( 전제 내용 ) 2021년도 장기요양보험율, 보험료 인상률, 시설서비스 1일 급여 비용, 재가 서비스 등급별 월 이용한도 액 등이.. 2020. 9. 12.
2021년의 기초생활 수급자 급여 및 중위소득표 2021년 기초생활 수급자 급여와 가구당 중위소득이 발표되었습니다.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가구 교육급여 (중위 50%) 91만3916 154만4040 199만1975 243만8145 287만8687 331만4302 주거급여 (중위 45%) 82만2524 138만9636 179만2778 219만4331 259만0818 298만2871 의료급여 (중위 40%) 73만1132 123만5232 159만3580 195만516 230만2949 265만1441 생계급여 (중위 30%) 54만8349 92만6424 119만5185 146만2887 172만7212 198만8581 (단위 : 원/월) 중위소득은 2020년 대비 2.68%가 상승합니다. 가구원수 2020년 2021년 1인.. 2020. 8. 12.
2021년 최저 임금 얼마? 2020년 8,590원입니다. 작년에 발표되었구요. 최저임금 8,720원 2021년 최저임금이 8,720원으로 7월 14일 확정되었습니다. 전년대비 1.5% 인상으로 역대 최저 인상률이라고 합니다. 아마 코로나19의 영향가 미친 것 같습니다. 최저 임금은 근로자 임금, 기초생활수급자 급여, 노인장기요양 급여 등 각종 수급자 급여와 연동됩니다. 저소득자의 실생활에 영향을 많이 미칩니다. 빨리 최저 임금이 1만원 넘는 시대가 왔으면 좋겠습니다. 2020. 7. 23.
생활지원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에 대해서 알아보자 생활지원사란 직업을 아시나요? 처음들어보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2020년부터 실시하는 65세 이상 생활환경이 취약한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 수행 인력입니다. 모든 노인 대상은 아니고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초연금 수급자 분들이죠. 기존에 생활관리사와 노인돌보미가 있었는데 올해 들어서 생활지원사로 통합되었습니다. 생활지원사는 방문 요양보호사처럼 가정을 방문하여 어르신의 불편함을 도와드리는 역할을 합니다. 어르신들에게는 정말 소중하신 분일 겁니다. 현재는 생활지원사가 되기 위해 별도의 자격증 취득 과정은 없지만 요양보호사나 장애인활동지원사처럼 교육이수를 해야 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요양보호사와 사회복지사 소지자는 우대합니다. 수행기관으로 지정된 복지관에 공개 모집을 통해서.. 2020. 7. 20.
장애인활보조인 가족 돌봄도 가능할까? 장애인활동지원사(장애인활동보조인)는 가족 돌봄이 안된다고 하는데 정말 그럴까? 정답부터 말씀드린다면 원칙적으로는 안되지만 여건에 따라 가족 돌봄이 가능합니다.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요양보호사와 다르게 가족을 돌 볼 수 없습니다. 돌봄 허용이 안되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가족의 관계에 대해서 자세히 보면 장애인활동지원사의 배우자, 직계횔족, 형제, 자매- 활동지원인력의 배우자, 직계혈족, 형제·자매 - 활동지원인력의 직계혈족의 배우자 - 활동지원인력의 배우자의 직계혈족 및 형제·자매 배우자 - 남편, 아내 ※ 사실혼 포함 직계혈족 -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손자, 손녀 등 형제·자매 - 오빠, 형, 언니, 누나, 남동생, 여동생 직계혈족의 배우자 - 며느리, 사위, 손자며느리.. 2020. 7.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