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정보/차상위계층

2026년 차상위계층 소득 선정기준액 및 모의 계산 방법

by 소설프로그래머 2025. 8. 7.
반응형

2026년 차상위계층 자격 조건

차상위계층은 소득 수준이 적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계층이지만 정부가 정한 기준에는 못해  기초생활 수급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전히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경제적 취약계층이다.

 

차상위계층의 기초생활 수급자처럼 기준 중위소득이 50% 이하인 가구이면서  고정재산이 있거나, 부양의무자 기준이나, 근로능력 여부 등으로 기초생활 수급자가 되지 못한 경우이다.

 

아래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이다.

 

차상위계층 소득 기준

가구원 수 2025년 2026년
1인 가구 1,196,007 1,282,119원
2인 가구 1,966,329 2,099,646원
3인 가구 2,512,677 2,679,518원
4인 가구 3,048,887 3,247,369원
5인 가구 3,554,096 3,778,360원
6인 가구 4,032,403 4,277,976원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차상위계층 소득기준액 이하이어야 대상자가 될 수 있다. 소득인정액은 지자체에서 가구에 대한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을 월 단위로 환산한 금액의 합계를 조사한다.

 

이른 기초생활 수급자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을 준용한다. 계산 방법이 복잡하므로 모의계산을 이용해 보는 방법도 있다. 

 

차상위계층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화면

 

엔젤시터 차상위계층 소득인정액 모의계산기는 월 근로 및 사업에 대한 소득을 계산하는 소득평가액과  주거용재산, 금융재산, 차량 등 각종 재산을 월단위로 환산하는 소득환산액으로 각각 나눠 입력하고 얻어진 값을 합산한다.

 

이를 통해 차상위계층 여부를 모의계산해 준다.

다만 지자체에서 계산하는 것과는 다를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만 보자.

 

차상위계층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바로가기

 

지원 종류

차상위계층에게는 차상위 자활 대상자, 차상위 본인부담경감 대상자, 문화누리카드 지원, 차상위 장애수당, 전기 및 통신료 할인, 양속할인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차상위계층은 주민센터가  신분증을 지참하여 상담 후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여 신청한다.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도 가능하다. 

 

차상위계층 신청 방법 정리 글

차상위계층 지원 모음 전체 보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