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정보/사회복지 일반

2025년 0세~1세 아동 최대 월 100만원 등 부모급여 확인하기

by 소설프로그래머 2025. 4. 14.
반응형

부모급여는  극단적 저출생 문제와 인구 고령화로 인한 양육비 부담을 경감하고, 육아로 인한 소득 감소를 보전하여 부모와 아이가 함께하는 시간을 보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여성의 경력 단절과 가구소득 감소 문제를 완화하고, 경제적 안정성을 높여 출산을 장려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모급여는 출산과 양육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만 0세(0~11개월) ~ 만 1세(12~23개월) 아동에게 부모급여를 지급하고  직업, 소득, 재산과 관계없이 모든 부모가 받을 수 있다.

 

2025년 부모급여 ( 종일제 아이돌봄 )

구분 보육료 바우처 부모급여(차액) 정산금
0세(0세반) 100만원 54만원 시간당 12,180원
(최대 200시간 지원)
1세(0세반, 1세반) 50만원 54만원,
47.5만원

 

아이돌봄 지원사업의 종일제 아이돌봄, 특히 영아종일제 서비스는 영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돌봄 서비스이다. 아이돌보미가 가정으로 직접 방문하여 이유식 먹이기, 젖병 소독, 기저귀 갈기, 목욕 등 영아 돌봄에 필요한 전반적인 활동을 제공한다.

 

2025년 부모급여 ( 보육료 )

구분 보육료 바우처 부모급여(차액) 정산금
0세(0세반) 54만원 46만원 입・퇴소일 또는 상・하위반 편성에 따라 매월 금액 상이
1세(0세반) 54만원 -
1세(1세반) 47.5만원 2.5만원

 

부모급여 변화

구분 보육 만0세 만1세
2024년~2025년 시설미이용 월 100만원

월 50만원
시설이용 보육료 바우처
( 0세반, 1세반 )
2023년 시설미이용 월 70만원(현금) 월 35만원(현금)
시설이용 월51.4만원(바우처)
+ 월 18.6만원(현금)
월 51.4만원(바우처)
2022년 시설미이용 월30만원*
시설이용 월 49.9만원(바우처)
2021년 시설미이용 월 20만원 월 15만원
시설이용 월 48만원

* 22.1.1이후 출생아부터 적용

 

지급 대상 및 지원 방법

2세 미만 아동(0~23개월)에 대한 지원은 2세 생일이 되기 전 달까지, 최대 24개월 동안 제공한다. 지원 형태는 가정에서 양육 시 현금 지급,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 제공, 그리고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종일제 아이돌봄 바우처 지급된다. 또한 바우처 지원 금액이 부모급여보다 적을 경우, 차액을 현금으로 추가 지급한다. 현금을 받을 경우 시간제 보육 및 시간제 아이돌봄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

 

아동지원 모두 한곳에 모음

영유아/아동 전체 지원 목록 바로가기

2025년 아동수당 사업안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