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모급여는 극단적 저출생 문제와 인구 고령화로 인한 양육비 부담을 경감하고, 육아로 인한 소득 감소를 보전하여 부모와 아이가 함께하는 시간을 보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여성의 경력 단절과 가구소득 감소 문제를 완화하고, 경제적 안정성을 높여 출산을 장려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모급여는 출산과 양육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만 0세(0~11개월) ~ 만 1세(12~23개월) 아동에게 부모급여를 지급하고 직업, 소득, 재산과 관계없이 모든 부모가 받을 수 있다.
2025년 부모급여 ( 종일제 아이돌봄 )
구분 | 보육료 바우처 | 부모급여(차액) | 정산금 |
0세(0세반) | 100만원 | 54만원 | 시간당 12,180원 (최대 200시간 지원) |
1세(0세반, 1세반) | 50만원 | 54만원, 47.5만원 |
아이돌봄 지원사업의 종일제 아이돌봄, 특히 영아종일제 서비스는 영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돌봄 서비스이다. 아이돌보미가 가정으로 직접 방문하여 이유식 먹이기, 젖병 소독, 기저귀 갈기, 목욕 등 영아 돌봄에 필요한 전반적인 활동을 제공한다.
2025년 부모급여 ( 보육료 )
구분 | 보육료 바우처 | 부모급여(차액) | 정산금 |
0세(0세반) | 54만원 | 46만원 | 입・퇴소일 또는 상・하위반 편성에 따라 매월 금액 상이 |
1세(0세반) | 54만원 | - | |
1세(1세반) | 47.5만원 | 2.5만원 |
부모급여 변화
구분 | 보육 | 만0세 | 만1세 |
2024년~2025년 | 시설미이용 | 월 100만원 |
월 50만원 |
시설이용 | 보육료 바우처 ( 0세반, 1세반 ) |
||
2023년 | 시설미이용 | 월 70만원(현금) | 월 35만원(현금) |
시설이용 | 월51.4만원(바우처) + 월 18.6만원(현금) |
월 51.4만원(바우처) | |
2022년 | 시설미이용 | 월30만원* | |
시설이용 | 월 49.9만원(바우처) | ||
2021년 | 시설미이용 | 월 20만원 | 월 15만원 |
시설이용 | 월 48만원 |
* 22.1.1이후 출생아부터 적용
지급 대상 및 지원 방법
2세 미만 아동(0~23개월)에 대한 지원은 2세 생일이 되기 전 달까지, 최대 24개월 동안 제공한다. 지원 형태는 가정에서 양육 시 현금 지급,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 제공, 그리고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종일제 아이돌봄 바우처 지급된다. 또한 바우처 지원 금액이 부모급여보다 적을 경우, 차액을 현금으로 추가 지급한다. 현금을 받을 경우 시간제 보육 및 시간제 아이돌봄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
반응형
'복지 정보 > 사회복지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차사랑카드로 1년 최대 30만원 유류세 환급 받는 법! (0) | 2025.04.21 |
---|---|
2025년 긴급돌봄 지원사업 지역 및 대상자 선정 ( 부상, 질병 등 ) (0) | 2025.04.17 |
2025년 암환자 의료비 지원 대상자 및 지원 금액 (0) | 2025.04.11 |
2025년 경기도 긴급복지 지원 조건 및 생계비 지원 금액 (0) | 2025.03.31 |
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무료 법률 상담받는 방법 (0) | 2025.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