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집단휴진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 의료공백이 최소화하기 위해 보건복지부는 문 여는 병·의원의 정보와 비대면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의 정보를 제공한다.
문을 여는 병원은 제공 제공은 전화, 인터넷, 앱을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전화 이용은 129(보건복지콜센터), 119(구급상황관리센터), 국민 건강보험공단(1577-1000)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1644-2000) 콜센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관련 기관 홈페이지 및 앱을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응급의료포털 (www.e-gen.or.kr)
비상진료 병의원을 검색하는 전용 페이지이다.
홈페이지 접속 → 시·도/시·군·구/동 선택 → 의료기관/진료과목/진료일 선택 후 검색* * 시·도/시·군·구까지만 선택해도 검색 가능
보건복지부(www.mohw.go.kr)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응급의료포털로 이동할 수 있다.
홈페이지 접속 → 우측 중단 ‘문여는 병·의원 안내’ 배너 클릭 →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 홈페이지 연결 → ❶과 동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www.hira.or.kr)
전국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응급의료포털로 연결되어 있다.
홈페이지 접속 → 우측 하단 배너존 ‘문 여는 병·의원 안내’ 클릭 →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 홈페이지 연결 → ❶과 동일
보건소 홈페이지
각 지역 보건소 홈페이지도 응급의료포털로 연결되어 있다.
접속 → 홈페이지별* ‘문 여는 병·의원 안내’ 배너 클릭 →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 홈페이지 연결 → ❶과 동일
응급의료정보제공(E-Gen) 앱(App)
설치 및 접속 → 병·의원 터치 → 장소 주소 검색
비대면진료 의료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접속 후 중앙의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진료기관' 클릭 또는 '의료정보' 탭 -> '특수운영기관 정보' ->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선택 후 검색 후 확인 가능하다.
응급실은 전국 408개 응급의료기관에서 2시간 운영하고 있으며, 의료계 집단 휴진 기간에도 기존과 같이 응급실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중증 응급진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경증 환자는 동네병원이나 가까운 응급실 방문을 권장하고 있다.
비응급 환자는 가급적 문을 연 병의원 또는 보건소 확인 후 이용 또는 비대면진료 를 활용 권장한다.
방문전에 꼭 전화로 정상 진료 여부를 확인 후, 평소 처방약은 미리 받아놓는 것이 좋다.
우울·불안, 심리상담을 위한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 사업 소개
'복지 정보 > 사회복지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대학교 국가장학금 지원금 및 학자금 지원구간 산정 기준 (0) | 2024.08.13 |
---|---|
우울 등 전국민 마음투자 전문 심리 상담 지원 대상자 요건 (0) | 2024.06.20 |
2024년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액·하한액 4.5% 인상 (0) | 2024.06.13 |
전국민 마음투자 기관 창업 사무실 및 인력 요건 (0) | 2024.06.11 |
주변에 생활고를 겪고 있는 주민을 신고하면 포상금을 준다? (0) | 2024.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