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2년도 방문요양센터, 주야간보호센터, 요양원 이용요금에 대한 장기요양기관의 급여액과 본인부담금 기준을 정부에서 발표했다.
2022년에 장기요양 수가는 2021년 대비 평균 4.32% 인상되었고, 장기요양보험율은 12.27%로 결정되었다.
구분 | 21년 | 22년 | 변화 |
장기요양보험율 | 11.52% | 2.27% | 0.75% 인상 |
2022년 급여유형별 수가 인상률
급여 유형 | 평균 | 요양 시설 |
공동생활가정 | 주야간보호 | 단기 보호 |
방문 요양 |
방문 목욕 |
방문 간호 |
인상률 | 4.32 | 4.10 | 4.28 | 4.13 | 4.17 | 4.62 | 4.15 | 3.58 |
(단위 : %)
2022년 등급별 재가이용 월 한도액
구분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5등급 | 인지지원 등급 |
’21년 한도액 |
1,520,700 | 1,351,700 | 1,295,400 | 1,189,800 | 1,021,300 | 573,900 |
’22년 한도액 |
1,672,700 | 1,486,800 | 1,350,800 | 1,244,900 | 1,068,500 | 597,600 |
인상률 | 10.00% | 9.99% | 4.28% | 4.63% | 4.62% | 4.13% |
(단위 : 원)
2022년 급여유형별 장기요양수가
① 노인요양시설(요양원)
등급 | ’21년 수가 |
’21년 본인부담 | ’22년 수가 |
’22년 본인부담 |
1 | 71,900 | 14,380 | 74,850 | 14,970 |
2 | 66,710 | 13,342 | 69,450 | 13,890 |
3,4,5 | 61,520 | 12,304 | 64,040 | 12,808 |
(단위 : 1일, 원)
② 공동생활가정
등급 | ’21년 수가 |
’21년 본인부담 | ’22년 수가 |
’22년 본인부담 |
1 | 63,050 | 12,610 | 65,750 | 13,150 |
2 | 58,510 | 11,702 | 61,010 | 12,202 |
3,4,5 | 53,930 | 10,786 | 56,240 | 11,248 |
(단위 : 1일, 원)
③ 주야간보호
등급 | ’21년 수가 |
’21년 본인부담 | ’22년 수가 |
’22년 본인부담 | |
3시간 이상 |
1등급 | 35,480 | 5,322 | 36,950 | 5,543 |
2등급 | 32,850 | 4,928 | 34,210 | 5,132 | |
3등급 | 30,330 | 4,550 | 31,580 | 4,737 | |
4등급 | 28,940 | 4,341 | 30,140 | 4,521 | |
5등급 | 27,560 | 4,134 | 28,700 | 4,305 | |
인지지원등급 | 27,560 | 4,134 | 28,700 | 4,305 | |
6시간 이상 |
1등급 | 47,570 | 7,136 | 49,530 | 7,430 |
2등급 | 44,060 | 6,609 | 45,880 | 6,882 | |
3등급 | 40,670 | 6,101 | 42,350 | 6,353 | |
4등급 | 39,290 | 5,894 | 40,910 | 6,137 | |
5등급 | 37,890 | 5,684 | 39,450 | 5,918 | |
인지지원등급 | 37,890 | 5,684 | 39,450 | 5,918 | |
8시간 이상 |
1등급 | 59,160 | 8,874 | 61,600 | 9,240 |
2등급 | 54,810 | 8,222 | 57,070 | 8,561 | |
3등급 | 50,600 | 7,590 | 52,690 | 7,904 | |
4등급 | 49,220 | 7,383 | 51,250 | 7,688 | |
5등급 | 47,820 | 7,173 | 49,790 | 7,469 | |
인지지원등급 | 47,820 | 7,173 | 49,790 | 7,469 | |
10시간 이상 | 1등급 | 65,180 | 9,777 | 67,870 | 10,181 |
2등급 | 60,380 | 9,057 | 62,870 | 9,431 | |
3등급 | 55,780 | 8,367 | 58,080 | 8,712 | |
4등급 | 54,370 | 8,156 | 56,620 | 8,493 | |
5등급 | 52,990 | 7,949 | 55,180 | 8,277 | |
인지지원등급 | 47,820 | 7,173 | 49,790 | 7,469 | |
13시간 초과 | 1등급 | 69,890 | 10,484 | 72,780 | 10,917 |
2등급 | 64,750 | 9,713 | 67,420 | 10,113 | |
3등급 | 59,810 | 8,972 | 62,280 | 9,342 | |
4등급 | 58,430 | 8,765 | 60,840 | 9,126 | |
5등급 | 57,040 | 8,556 | 59,400 | 8,910 | |
인지지원등급 | 47,820 | 7,173 | 49,790 | 7,469 |
(단위 : 원)
④ 단기보호
등급 | ’21년 수가 |
’21년 본인부담 | ’22년 수가 |
’22년 본인부담 |
1 | 58,070 | 8,711 | 60,490 | 9,074 |
2 | 53,780 | 8,067 | 56,020 | 8,403 |
3 | 49,680 | 7,452 | 51,750 | 7,763 |
4 | 48,360 | 7,254 | 50,380 | 7,557 |
5 | 47,050 | 7,058 | 49,010 | 7,352 |
(단위 : 1일, 원)
⑤ 방문요양
방문당 시간 | ’21년 수가 |
’21년 본인부담 | ’22년 수가 |
’22년 본인부담 |
30분 | 14,750 | 2,213 | 15,430 | 2,315 |
60분 | 22,640 | 3,396 | 22,380 | 3,357 |
90분 | 30,370 | 4,556 | 30,170 | 4,526 |
120분 | 38,340 | 5,751 | 38,390 | 5,759 |
150분 | 43,570 | 6,536 | 44,770 | 6,716 |
180분 | 48,170 | 7,226 | 50,400 | 7,560 |
210분 | 52,400 | 7,860 | 56,170 | 8,426 |
240분 | 56,320 | 8,448 | 61,950 | 9,293 |
(단위 : 원)
⑥ 방문목욕
구분 | ’21년 수가 |
’21년 본인부담 | ’22년 수가 |
’22년 본인부담 |
차량이용(차량 내) | 74,450 | 11,318 | 78,580 | 11,787 |
차량이용(가정 내) | 68,030 | 10,205 | 70,850 | 10,628 |
차량 미 이용 | 42,480 | 6,372 | 44,240 | 6,636 |
(단위 : 원)
⑦ 방문간호
방문당 시간 | ’21년 수가 |
’21년 본인부담 | ’22년 수가 |
’22년 본인부담 |
30분 미만 | 36,530 | 5,480 | 37,840 | 5,676 |
30분~60분 미만 | 45,810 | 6,872 | 47,450 | 7,118 |
60분 이상 | 55,120 | 8,268 | 57,090 | 8,564 |
(단위 : 원)
2021년 요양기관 이용요금 수가표는 궁금한 분은 아래 링크 페이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장기요양기관별 이용요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엔젤시터 장기요양 이용요금 홈 메뉴를 확인해 보자.
2022년 수가표 및 인력배치기준, 주요 변경 사항 발표 내용에 대한 hwp 다운로드는 아래 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다.
반응형
'노인장기요양 > 장기요양 이용요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주야간보호센터 이용요금 수가 및 본인부담금 (0) | 2021.09.28 |
---|---|
2022년 방문요양 이용요금 및 본인부담금 ( 감경률 포함 ) (0) | 2021.09.16 |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 공생 ) 이용료 모의계산기 (0) | 2021.08.23 |
요양원 입소 이용요금, 모의계산기를 이용해 보자! (0) | 2021.08.11 |
노인 요양원 입소 비용 상세 설명 ( 식사비, 간식 및 기저귀 등 ) (0) | 2021.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