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정보/사회복지 일반

버스, 지하철 교통비 20~53% 적립시켜 주는 K-패스 소개

by 소설프로그래머 2024. 5. 14.
반응형

휴대폰, 교통비, 가스비 등은 작은 비용이라도 안 쓸 수가 없기 때문에 우리 생활에 부담을 준다.

 

지자체에서는 버스 또는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시 쓴 만큼 적립시켜 주는 환급제도가 있다. 이는 지자체마다 각각 다르다. 

 

또한 해당 지자체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단점도 있다.

 

국가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180여개 지자체와 협력해서 전국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카드 K-패스 서비스를 시작했다.

 

K-패스는 전국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적립률과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지자체 또는 카드사의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다.

 

K-패스 적립률

K-패스 교통카드를 사용할 때마다 이용 횟수 및 금액 만큼 환급해서 적립을 해 준다.

대상 적립률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 53%

 

청년 만 19~34세이며, 저소득층은 기초생활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다.

지자체에서 따라 청년 및 저소득층 기준이 다를 수 있다.

 

K-패스 적립 기준

  • 월 15회 이상 이용
  • 최대 60회 까지 적립
  • 지자체가 K-패스 사업 대상인 경우

 

가입 방법

K-패스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K-패스 카드 또는 알뜰교통카드가 있어야 한다.

K-패스 카드가 준비되었으면 K-패스 홈페이지에서 가입 후 이용 가능하다.

K-패스 카드는 카드사를 통해서 발급받을 수 있다.

 

카드사마다 지급일과 카드에 대한 혜택이 다르다.

이는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직접 문의해 보아야 한다.

 

알뜰교통카드는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alcard.kr) 에서 회원 전환 후 K-패스 이용이 가능하다. 

회원 전환을 하지 않으면 K-패스를 이용할 수 없다.

 

K-패스 홈페이지 및 고객센터

홈페이지 : https://korea-pass.kr/
전화 : 031-427-4415

 

카드사 고객센터

신한카드 고객센터
1544-7000
우리카드 고객센터
1588-9955
1599-9955
하나카드 고객센터
1800-1111
1588-4000
모바일이즐 고객센터
1644-0006
원패스 고객센터
080-427-2342
티머니 고객센터
1644-0088
삼성카드 고객센터
1588-8700
현대카드 고객센터
1577-6000
국민카드 고객센터
1588-1688
농협카드 고객센터
1644-4000
광주은행 고객센터
1588-3388
1600-4000
기업은행 고객센터
1588-2588
케이뱅크 고객센터
1522-1000
바로카드 고객센터
1566-4000
1588-40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