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이 요양원에 입소를 하면 국가에서 80%를 지원하고 나머지 20%를 본인이 부담을 한다.
2023년 장기요양 수가를 기준으로 요양원 한달 비용이 얼마가 되는지 알아보자.
요양원 수가표
등급 | 22년 수가 | 23년 수가 |
1 | 74,850원 | 78,250원 |
2 | 69,450원 | 72,600원 |
3,4,5 | 64,040원 | 66,950원 |
요양원은 시설등급을 가진 1~5등급 어르신이 입소가 가능하다.
3~5등급은 수가가 동일한다.
2023년 총 본인부담 비용 계산 ( 월 기준 )
등급 | 급여비용 (1일) |
급여비용 (30일) |
본인부담금(월)① | 비급여(월)② (식대, 간식) 예시금액 |
(월)총계③ | ||||
일반대상자 (20%) |
감경자 (12%) |
감경자 (8%) |
일반20% | 감경12% | 감경8% | ||||
1등급 | 78,250 | 2,347,500 | 469,500 | 281,700 | 187,800 | 270,000 | 739,500 | 551,700 | 457,800 |
2등급 | 72,600 | 2,178,000 | 435,600 | 261,360 | 174,240 | 270,000 | 705,600 | 531,360 | 444,240 |
3,4,5등급 | 66,950 | 2,008,500 | 401,700 | 241,020 | 160,680 | 270,000 | 671,700 | 511,020 | 430,680 |
2023년 수가를 기반으로 30일 기준 본인부담금과 식사 및 간식비 등 비급여를 포함한 예상 비용이다.
요양원의 총 부담액은 본인부담금과 비급여를 합한 금액이다.
비급여는 1일 9,000원으로 가정했다.
비급여는 요양원마다 다르다.
의료보험료 기준에 따라 8~12%로 본인부담금을 감경 받을 수 있고, 생계급여, 의료급여 수급자는 식비 포함 전액 비용이 들지 않는다.
요양원 본인부담금 모의계산기를 이용해 보는 방법도 있다.
반응형
'노인장기요양 > 장기요양 이용요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방문목욕 수가 및 이용요금 본인부담금 (감경 대상자 포함 ) 정리 (0) | 2022.10.20 |
---|---|
2023년 요양원 본인부담금 모의계산기 ( 식사 등 비급여 포함 ) (0) | 2022.10.12 |
2023년 주간보호센터 본인부담금 모의계산기 ( 감경률 및 휴일 가산 적용 ) (0) | 2022.10.10 |
2023년 방문요양 등급별 월한도액 및 월 최대 이용 가능 일수 (0) | 2022.10.05 |
2023년 주간보호센터 이용요금 및 시간당 본인부담금 정리 (0) | 2022.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