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정보/기준중위소득

2026년 기준 중위소득 100% 및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기준액 정리

by 소설프로그래머 2025. 7. 31.
반응형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인 6.51% 인상되었다.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등 다양한 사회복지 제도의 소득기준액으로 사용된다.

 

기준 중위소득 인상은 대상자가 증가하고, 지급되는 생계급여액이 인상된다. 이번 조치로 약 4만 명이 새롭게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래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다.

2025년도 및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100%

 

(단위: 원/월)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2025년 239만 2,013 393만 2,658 502만 5,353 609만 7,773 710만 8,192 806만 4,805
2026년 256만 4,238 419만 9,292 535만 9,036 649만 4,738 755만 6,719 855만 5,952

 

 

기준 중위소득액 100% 정부가 우리나라의 가구별 소득을 나열 후 가운데 위치한 값으로 매년 7월 말 발표를 한다. 이를 통해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기준액을 확인할 수 있다.

 

급여별 선정 기준액은 생계급여 32%, 의료급여 40%, 주거급여 48%, 교육급여 50%로 올해와 동일하다.

 

2025년도 및 2026년도 급여별 선정기준

(단위: 원/월)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생계급여
(중위 32%)
’26년 82만 556 134만 3,773 171만 4,892 207만 8,316 241만 8,150 273만 7,905
’25년 76만 5,444 125만 8,451 160만 8,113 195만 1,287 227만 4,621 258만 738
의료급여
(중위 40%)
’26년 102만 5,695 167만 9,717 214만 3,614 259만 7,895 302만 2,688 342만 2,381
’25년 95만 6,805 157만 3,063 201만 141 243만 9,109 284만 3,277 322만 5,922
주거급여
(중위 48%)
’26년 123만 834 201만 5,660 257만 2,337 311만 7,474 362만 7,225 410만 6,857
’25년 114만 8,166 188만 7,676 241만 2,169 292만 6,931 341만 1,932 387만 1,106
교육급여
(중위 50%)
’26년 128만 2,119 209만 9,646 267만 9,518 324만 7,369 377만 8,360 427만 7,976
’25년 119만 6,007 196만 6,329 251만 2,677 304만 8,887 355만 4,096 403만 2,403

 

이번 인상으로 1인 가구 생계급여는 최대 55,000원으로 인상되었으며, 4인 가구 기준으로 127,000원이 인상되었다.

 

2026년 의료급여 본인부담 기준

구     분 1차
(의원)
2차
(병원, 종합병원)
3차
(상급종합병원)
약국
1종 입원 없음 없음 없음 -
외래 1,000원 1,500원 2,000원 500원
2종 입원 10% 10% 10% -
외래 1,000원 15% 15% 500원

 

 

2026년 주거급여 기준 임대료

(단위 : 만 원/월)

구분 1급지
(서울)
2급지
(경기・인천)
3급지
(광역·세종시・
수도권 외 특례시)
4급지
(그외 지역)
1인 36.9 +1.7 30.0 +1.9  24.7 +1.9 21.2 +2.1
2인 41.4 +1.9 33.5 +2.1  27.5 +2.1 23.8 +2.3
3인 49.2 +2.2 40.1 +2.6  32.7 +2.5 28.3 +2.7
4인 57.1 +2.6 46.3 +3.0 38.1 +3.0 32.9 +3.2
5인 59.1 +2.7 47.9 +3.1 39.4 +3.1 34.0 +3.3
6인 69.9 +3.2 56.8 +3.7 46.3 +3.5 40.2 +3.9

가구원 수가 7인의 경우 6인 기준임대료와 동일하고, 가구원 수가 8∼9인의 경 6인 기준임대료의 10%를 가산

 

기준 임대료에 따라 최대 월세 지원한도가 바뀐다.

 

예를 들어 1인 가구 경기도에 살 경우 올해 보다 1.9만원 인상된 최대 30만원을 월세 지원 받게 된다.

 

교육급여

구분 ’25년 ’26년
지원금액 지원금액 전년대비
교육활동
지원비
487,000 502,000 +15,000 (+3.0%)
679,000 699,000 +20,000 (+3.0%)
768,000 860,000 +92,000 (+12.0%)
교과서비  해당 학년의 정규 교육과정에 편성된 교과목의 교과서 금액 전체
입학금‧수업료  연도별․급지별 학교장이 고지한 입학금·수업료 전액

 

 

이번 발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페이지에서 첨부파일을 확인해 보자.

 

2026년 기준 중위소득 및 기초생활 소득기준액 발표 ( 배포 요약본 포함 )

보건복지부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을 역대 최대 6.51% 인상된 금액으로 결정했습니다. 특히 기초생활 수급자 대다수를 찾지하..

angelsitter.co.kr

 

최신 기준 중위소득 30~300% 확인하기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기준액 및 지원 내용 (상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