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재난지원금 소득 하위 70%? ( 건겅보험료 기준 )
(7/26일 업데이트) 재난지원금 지급 범위는 88%로 확정되었다.
또한 국가에서 지급 대상 건강보험료 기준을 발표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 보자.
재난지원금 ( 국민지원금 ) 기본 선정기준표 - 건강보험료 , 1인특례, 맞벌이 등
정부는 26일 코로나19 상생국민지원금 지급을 위한 소득하위 88% 선정기준표를 발표했다. 국민지원금 기본 선정기준표 가구원수 국민지원금 기본 선정기준표(원) 직장 지역 혼합 1인 113,600 107,600
sharedfolder.tistory.com
국가가 5차 재난지원금이 사실상 확실해 보인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이 약간의 의견이 있어 보인다.
정부의 안은 재난지원금 하위 70% 지급과 전 국민 신용카드 캐시백을 전국민에게 혜택을 주자는 것이다.
신용카드 캐시백은 3분기 카드 사용액이 2분기보다 늘어날 경우 사용액의 10%를 카드 포인트로 지급해 주는 방식이다.
사실상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원이라면 여당을 설득하고 있다.
캐시백은 고소득층에게 유리한 방식이라서 재난지원금을 지원받지 못하는 층의 공백을 메울 수 있다는 판단이다.
여당도 전국민 재난지원금을 주장하다가 선회하는 분위기이다.
캐시백 한도 차액을 민주당에서는 1인당 최대 50만원을, 정부는 30만원을 주장하고 있다.
내용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조만간 큰틀이 완성되면 세부적인 대상, 지급계획 등이 당정 협의를 거쳐 최종 결정될 것이다.
재난지원금 하위 70%는 어떻게 대상자가 선정될까?
하위 70%는 대상자 선정은 기준 중위소득으로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 수급자 등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복지 정책에서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이 된다.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은 가구당 근로소득과 재산을 조사해서 평가한 소득인정액을 기반으로 한다.
보통 2~3달이 걸린다.
이 같은 방식으로 조사에 대한 인력 비용, 시간소요 등으로 국민 하위 70%에게 지급할 수는 없다.
그래서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할 것이다.
소득 하위 70%는 건강보험료 기준 150% 값과 가깝다고 본다.
건강보험료 기준중위소득 150% ( 원 )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1인 | 2,742,000 | 69,399 | 95,459 | |
105,350 | 77,394 | 106,456 | ||
2인 | 4,632,000 | 159,583 | 160,445 | 161,571 |
177,967 | 178,928 | 180,184 | ||
3인 | 5,976,000 | 206,575 | 220,777 | 209,941 |
230,372 | 246,211 | 234,126 | ||
4인 | 7,314,000 | 252,295 | 277,765 | 257,849 |
281,359 | 309,764 | 287,553 | ||
5인 | 8,636,000 | 296,707 | 329,659 | 308,297 |
330,888 | 367,636 | 343,813 | ||
6인 | 9,943,000 | 354,781 | 393,994 | 380,152 |
395,652 | 439,382 | 423,946 | ||
7인 | 11,246,000 | 414,255 | 456,308 | 449,388 |
461,977 | 508,875 | 501,157 | ||
8인 | 12,549,000 | 449,388 | 494,952 | 486,115 |
501,157 | 551,970 | 542,115 | ||
9인 | 13,852,000 | 486,115 | 531,814 | 540,144 |
542,115 | 593,079 | 602,369 | ||
10인 | 15,154,000 | 540,144 | 583,151 | 634,303 |
602,369 | 650,330 | 707,375 |
빨간색 금액은 노인장기요양보험료 미 포함 금액
정확한 가이드 라인이 나온 것이 없기 때문에 건강보험료 기준 70% 일 수도 있다.
그 외의 건강보험료 소득 기준표는 아래의 페이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2021년 기준 중위소득 및 수급자 선정 기준 ( 소득인정액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