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정보/기초생활
서울시 1조 재난지원금 지급 ( 기초생활 및 차상위 10만원, 요양기관 최대 100만원 )
소설프로그래머
2021. 3. 30. 09:21
반응형
서울시가 기초생활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게 10만원, 노인장기요양기관에게 50만원에서 최대 100만원을 지급하는 등 재난지원금 1조원을 투입한다.
5천억원은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소상공인, 취약계층, 피해업종에 위기 극복 재난 지원금으로 직접적으로 지원된다.
소상공인 지원
서울경제 활력자금 |
1,989억원 | 집합금지(연장) 150만원 집함금지(완화) 120만원 집합제한 60만원 |
폐업 소상공인 지원 | 240억원 | 코로나19 확산 이후 폐업한 집한금지 및 제한 소상공인 업체당 50만원 |
무이자 융자 | 524억원 | 소상공인 2.5만명에게 무이자로 5천억원 지원 |
취약계층 분야
미취업 청년 취업장려금 | 868억원 졸업 후 2년 이내 미취업 청년(만19~34세) 50만원 제로페이로 지급 |
저소득층 취약계층 생활지원금 | 483억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법정 한부모가족 약 46만명 10만원 현금 지원 ( 별도 신청 없이 자치구별 대상자 확정 후 4월 중 가구별 대표 계죄로 입금 |
피해업종 지원 424억원
어르신 요양시설 | 50~100만원 방역조치로 시설 운영에 어려움을 껶는 총 1,036개 요양시설 (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주야간보호시설, 단기보호시설 ) |
어린이집 | 100만원 코로나19로 인해 긴급돌봄 운영시간이 늘어나면서 업무 부담과 운영비가 가중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총 429개소당 1000만원 지급 |
지역아동센터 | 100만원 |
대중교통 운수종사자 | 50만원 |
문화, 예술인 | 100만원 |
관광, MICE 소상공인 | 200만원 |
융자 지원금위기극복 재난지원금 (1조원 규모 - 5,000억 원 직접지원, 5,000억 원 융자지원)
소상공인 지원 [2,753억원] |
① 서울경제 활력자금 지원 | 1,989억원 [27.5만개] |
▪ 집합금지 업종(연장) 2.7만개, 업체당 150만원 ▪ 집합금지 업종(완화) 1.6만개, 업체당 120만원 |
597억원 | |
▪ 집합제한 업종 23.2만개, 업체당 60만원 | 1,392억원 | |
② 폐업 소상공인 지원 | 240억원 [4.8만개] |
|
▪ 코로나로 폐업한 집합금지·제한 소상공인, 업체당 50만원 | 240억원 | |
③ 소상공인 무이자 융자 지원 | 524억원 [2.5만명] |
|
▪ 2.5만명에게 무이자로 2천만원까지 지원(총 5천억원) | 524억원 | |
취약계층 지원 [1,351억원] |
④ 저소득 취약계층 생활지원금 지급 | 483억원 [46만명] |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에게 1인당 10만원 | 483억원 | |
⑤ 미취업청년 취업장려금 지급 | 868억원 [17만명] |
|
▪ 최종학력 졸업 후 2년 이내인 미취업자 1인당 50만원 | 868억원 | |
피해업종 지원 [424억원] |
⑥ 어르신 요양시설 지원 | 9억원 [1,036개] |
▪ 선제검사 의무대상 시설 1,036개, 시설당 50~100만원 | 9억원 | |
⑦ 어린이집 지원 | 51억원 [5,081개] |
|
▪ 市 소재 어린이집 5,0981개소, 시설당 100만원 지원 | 51억원 | |
⑧ 지역아동센터 지원 | 4억원 [429개] |
|
▪ 市 소재 지역아동센터 429개, 시설당 100만원 지원 | 4억원 | |
⑨ 마을버스 업체 피해지원금 | 14억원 [139개] |
|
▪ 마을버스 업체 139개, 업체당 1천만원 지원 | 14억원 | |
⑩ 운수종사자 지원 | 146억원 [2만8,996명] |
|
▪ 법인택시·마을버스·전세버스·공항버스 기사 1인당 50만원 | 146억원 | |
⑪ 서울 예술인 긴급 재난지원금 | 100억원 [1만명] |
|
▪ 가구소득 중위 120% 이하 예술인 1만명, 1인당 100만원 지원 | 100억원 | |
⑫ 서울 관광 회복도약 자금 | 100억원 [5,000개] |
|
▪ 관광·MICE 소상공인 5천개사, 업체당 2백만원 지원 | 100억원 |
※ 대상 : 소상공인, 취약계층, 피해업종 (업체 33.5만개, 개인 69.4만명)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