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기준 중위소득 100% 발표 일정 및 확인 방법 ( 생계급여액 포함 )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사회복지 정책의 소득 선정 기준으로 사용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사회복지 정책에서 소득 수준을 판단할 때 활용되는 핵심 지표이다. 이는 전국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정렬했을 때 정확히 가운데에 있는 가구의 소득이 중위소득이며, 이를 기준으로 기초생활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은 50% 이하를 판정할 때 사용하고 또한 다양한 일정 기준 소득인지를 판단해 복지 수급 자격을 정한다.
발표 시기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여름, 대략 7월 말경 다음 해 적할 기준 중위소득을 발표된다. 따라서 약 한달 후면 내년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아래 페이지에서 최신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해 불 수 있다. 한 달 후 기준 중위소득이 발표되면 이 페이지에서 업데이트되고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다.
기초생활 수급자 중위소득
특히 기준 중위소득을 통해 기초생활 수급자 생계급여액인 기준 중위소득 32%를 확인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내년도 지급되는 생계급여액이 얼마가 나오는지 알 수 있다.
기초생활 수급자의 중위소득은 아래와 같다.
가구원 수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교육급여 (중위 50%) |
’24년 | 111만4,223 | 184만1,305 | 235만7,329 | 286만4,957 | 334만7,868 | 380만9,185 |
’25년 | 119만 6,007 | 196만 6,329 | 251만 2,677 | 304만 8,887 | 355만 4,096 | 403만 2,403 | |
주거급여 (중위 48%) |
’24년 | 106만9,654 | 176만7,652 | 226만3,035 | 275만358 | 321만3,953 | 365만6,817 |
’25년 | 114만 8,166 | 188만 7,676 | 241만 2,169 | 292만 6,931 | 341만 1,932 | 387만 1,106 | |
의료급여 (중위 40%) |
’24년 | 89만1,378 | 147만3,044 | 188만5,863 | 229만1,965 | 267만8,294 | 304만7,348 |
’25년 | 95만 6,805 | 157만 3,063 | 201만 141 | 243만 9,109 | 284만 3,277 | 322만 5,922 | |
생계급여 (중위 32%) |
’24년 | 71만3,102 | 117만8,435 | 150만8,690 | 183만3,572 | 214만2,635 | 243만7,878 |
’25년 | 76만 5,444 | 125만 8,451 | 160만 8,113 | 195만 1,287 | 227만 4,621 | 258만 738 |
기초생활 수급자 외에 차상위계층도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이며, 한부모가족 60% 이하, 청소년 한부모 가족 65%이하, 가사간병 서비스 70% 이하, 긴급복지지원 75% 이하, 청년국민취업 120% 이하 등 노인, 장애인, 청년, 취업, 아이돌봄 다양한 분야에서 중위소득이 사용된다.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해당 기준중위소득 기준액을 넘어서면 안된다. 소득인정액을 계산하는 방법은 각 복지 정책별로 다르다. 따라 모의계산을 이용해 보는 방법도 있다.
대표적인 모의계산으로 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국가장학금 모의계산기를 제공하고 있다. 그 외에는 장기요양, 4대보험, 실업급여 등 다양한 모의계산기를 확인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