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정보/사회복지 일반
만 나이 적용되는 분야 및 예외 분야 정리 ( 복지 서비스 지원 나이 )
소설프로그래머
2023. 6. 29. 08:47
반응형
우리나라는 여러가지 나이 계산 방법을 사용했지만 만 나이로 통일하게 되어 전 국민이 1~2살 어려지게 되었다.
이제 특별히 표기되지 않으면 만 나이가 기본 원칙이다.
하지만 만나이가 적용되지 않는 분야도 있으니 유의가 필요하다.
만 나이가 적용되는 분야, 적용되지 않는 분야를 정리해 봤다.
만 나이 적용
구분 | 비고 |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OTT) | 만 나이에 따른 시청 연령 구분 ( 청소년 관람 불가는 만 18세 미만 ) |
장기요양등급 | 만 65세 이상 ( 또는 만 65세 미만 노인성 질환 ) |
카드 발급 | 만 19세 이상 |
체크카드, 가족 카드 발급 | 만 12세 이상 |
교통후불카드 | 만 12세 이상 |
역모기지론 | 만 55세 이상∼74세 이하 |
대통령, 국회의원 선거 | 만 18세 이상 |
근로자 정년 | 만 60세 이상 |
보험은 보험 나이 적용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금감원은 만 나이 적용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콜센터(☎1332)내 금융불편 상담센터를 운영중이다.
복지 서비스
구분 | 비고 |
장기요양등급 | 만 65세 이상 ( 또는 만 65세 미만 노인성 질환 ) |
활동지원등급 | 만 6세 ~ 만 65세 미만 |
노인맞춤돌봄 | 만 65세 이상 |
한부모가족 | 만 18세 미만 ( 취학 시 만 22세 미만 ) |
기초연금 | 만 65세 이상 |
노인 일자리 | 만 65세 이상 ( 시장형 : 만 60세 이상 ) |
청년 전세대출 | 만 34세 이하 |
청년 도약계좌 | 만 19세 이상∼34세 이하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만 24세 |
경로 우대 | 만 65세 이상 |
만나이 적용 예외
구분 | 비고 |
취학 나이 | 초등학생은 만으로 6세가 된 날이 속한 다음 해 3월 1일 입학 |
주류 및 담배 구매 나이 | 청소년 연령 기준인 연 나이 사용 |
병역 의무 나이 | |
공무원 시험 응시 나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