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기요양/장기요양 운영
2023년 장기요양기관 인건비 지출비율 변경 및 계산 방법
소설프로그래머
2023. 1. 5. 08:56
반응형
2023년 방문요양, 요양원, 주간보호센터의 인건비 지출비율은 어떻게 될까?
1월 1일부터 개정된 장기요양급여 제공기준 및 급여비용 산정방법이 시행됨에 따라 장기요양기관의 인건비 지출비율이 변경되었다.
2023년 장기요양기관 인건비지출비율
구분 | 장기요양요원 | 인건비 지출비율(%) ( 22년→ 23년 ) |
노인요양 시설 | 간호(조무)사 물리(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
61.1 → 61.4 |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 간호(조무)사 물리(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
65.5 → 65.8 |
주야간보호 | 간호(조무)사 물리(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
48.7 → 49.0 |
단기보호 | 간호(조무)사 물리(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
59.0 → 59.3 |
방문요양 |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
86.6 → 86.6 |
방문목욕 | 요양보호사 | 49.8 → 50.1 |
방문간호 | 간호(조무)사 치과위생사 |
60.4 → 60.9 |
※ 관련근거 : 고시 제11조의2
방문요양 사회복지사 등의 배치 가산 인정범위가 확대*(최대 4명 → 제한 해제)됨에 따라 가산 인정되는 인원수만큼 인건비 지출비율의 장기요양요원으로 인정합니다.
인건비지출비율 계산 방법
인건비 지출비율은 급여유형별로 1년 동안 제동된 제공된 장기요양급여에 대해 장기요양요원의 인건비를 나눠서 계산하고 결과를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입니다.
2023년 장기요양급여 제공기준 및 급여비용 산정방법 등에 관한 고시 일부개정문 및 전문
반응형